절박한 나토 "북중러는 한패"…안보에서 '한몸' 되는 유럽·아시아<br /><br />[앵커]<br /><br />이번 주 워싱턴에서 열린 북대서양조약기구, 나토 정상회의에선 한국을 포함한 인도·태평양 파트너 4개국의 존재감이 두드러졌다는 평가입니다.<br /><br />특히, 북한과 중국의 러시아 지원으로 유럽과 아시아가 안보 전선에서 불가분의 관계가 됐다는 인식을 반영한 건데요.<br /><br />이치동 기자가 전해드립니다.<br /><br />[기자]<br /><br />미국과 캐나다, 그리고 30개 유럽국의 군사 동맹인 나토의 아시아 끌어안기가 본격화하고 있습니다.<br /><br />무엇보다 중국과 북한이 우크라이나와 전쟁 중인 러시아를 군사·경제적으로 지원하면서 유럽과 아시아 안보의 연계성이 커졌기 때문입니다.<br /><br /> "중국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러시아의 결정적인 방조자가 됐습니다. 방위 산업 기반에 대한 무제한 파트너십과 지원을 통해섭니다."<br /><br />몇 년 전만 해도, 나토는 공식적으로 중국에 대해 도전이자 기회라는 표현을 썼습니다.<br /><br />하지만 이번 정상 선언문에서는 중국을 우크라이나 전쟁 방조자로 낙인 찍은 겁니다.<br /><br />북한과 이란의 러시아 지원에 대해서도 성토했습니다.<br /><br /> "이란, 북한 등 다른 권위주의 국가들도 드론, 탄약으로 러시아의 전쟁을 지원 중입니다. 이에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같은 생각을 가진 파트너들과 긴밀한 협력이 더욱 중요해졌습니다."<br /><br />대응책으로 나토는 한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와 안보 협력 강화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br /><br />이번 나토 정상회의를 계기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이른바 '인도·태평양 파트너 Four (IP4)'의 정상들과 별도로 회동했습니다.<br /><br />올해 안에 이 다섯 개 나라의 외교장관 회의도 열어 5자 협력 제도화를 모색하기로 했습니다.<br /><br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도 최근 중국, 북한, 베트남 등을 잇달아 방문하며 아시아에 공을 들이는 모습입니다.<br /><br />이번 주엔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크렘린궁에서 회담했습니다.<br /><br />나토와 러시아 간 사활을 건 대아시아 외교전이 치열하게 전개되는 양상입니다.<br /><br />연합뉴스 이치동입니다. (lcd@yna.co.kr)<br /><br />#나토 #중국 #아시아 #러시아 #우크라이나<br /><b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br /><br />(끝)<br /><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