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만 유튜버 '쯔양 사건'과 관련해 악성 이슈로 조회 수를 올리려는 이른바 '사이버렉카' 논란이 재점화 되고 있습니다. <br /> <br />선정적·폭력적인 콘텐츠에 대한 제재와 관련자 처벌이 어려운 구조를 이번 사건을 계기로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br /> <br />김승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 <br />[기자] <br />유튜버 '쯔양'이 협박당해 돈을 갈취당했다는 의혹을 처음 폭로한 유튜브 채널입니다. <br /> <br />영상을 올린 지 하루밖에 안 됐는데 다른 영상들과 비교하기 어려울 정도로 높은 조회 수를 보입니다. <br /> <br />[유튜버 '구제역' / 유튜브 '가로세로연구소' : 어차피 이거 솔직히 한 (유튜버) 2~3명 정도만 (작업) 해 가지고 하면 여론은 어차피 바뀌잖아요.] <br /> <br />이처럼 '사이버렉카'는 조회 수가 곧 돈인 유튜브의 수익 구조 속에서 선정적인 내용으로 번성해왔습니다. <br /> <br />특히 정의 구현을 내세워 피의자 신상을 공개하는 '사적 제재'는 대중의 지지를 받기도 했습니다. <br /> <br />[유튜브 '전투 토끼' 밀양 성폭행 관련 영상 : 피해자들은 평생 트라우마의 고통 속에 살아가고 있는데 너희는 왜 다들 결혼도 잘하고 아기도 낳고 잘살고 있는 거지?] <br /> <br />다만 피해자가 신상공개에 동의한 적이 없거나 엉뚱한 사람을 사건 관련자로 지목해 또 다른 문제를 만들기도 했습니다. <br /> <br />이처럼 사이버 렉카 영상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지만 유튜브 콘텐츠는 언론중재법 대상이 아니라 제재가 쉽지 않고, <br /> <br />심각한 피해를 입어 고소하더라도 가해자를 특정해 내기도 어렵습니다. <br /> <br />[서혜진 / 변호사 (YTN '뉴스 나우' 출연) : (가해자 특정) 사실 거기까지 가는 절차까지가 상당히 어렵고요. 수사가 매우 지연되기 때문에 흐지부지 결과가 나오는 경우가 사실 많습니다] <br /> <br />정치권에서도 정부가 플랫폼 운영자들이 자체적인 노력에 나서도록 관여하고, 현행법으로 엄격하게 처벌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br /> <br />이와 함께 남의 치부와 불행을 들춰내는 말초적인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소비하는 방식에 대한 반성도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br /> <br />YTN 김승환입니다. <br /> <br />영상편집 : 이은경 <br />디자인 : 백승민 <br /> <br /> <br /><br /><br />YTN 김승환 (ksh@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6_202407122247406647<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