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빌 언덕' 없는 자립준비청년…"더 많은 지원·관심 필요"<br />[뉴스리뷰]<br /><br />[앵커]<br /><br />양육 시설 등에서 지내다가 만 18세가 되어 보호가 종료된 아동들을 자립준비청년이라고 합니다.<br /><br />어린 나이에 자립하며 겪는 어려움이 많은데요.<br /><br />서울시가 이들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했는데, 더 세심한 관심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br /><br />안채린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만 18세가 되면 보호시설이나 위탁가정을 떠나 홀로서기를 해야 하는 자립준비청년.<br /><br />기댈 곳 없이 당장의 생활을 해결해내야 하는 게 쉬운 일은 아닙니다.<br /><br /> "남들은 부모님이 든든한 지원군이 되어 주는데…저는 금전적인 부분에서 급하다 보니까 내가 뭘 좋아하는지, 뭘 하고 싶은지 생각할 겨를도 없이 당장 일만 해서…."<br /><br />매년 평균 150명의 자립준비청년이 사회로 발을 내딛는데, 이런 청년이 현재 서울시에만 1,500여명이 있는 걸로 파악됐습니다.<br /><br />서울시는 이들의 부담을 덜기 위해 5년으로 한정됐던 자립준비 지원 기간을 더 확대하겠다고 밝혔습니다.<br /><br />학교에 다닐 때는 검사나 상담을 통해 진로를 찾는 데 주력하고, 실제 자립을 준비하는 시기에는 주거비 등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는 지원책을 통해 홀로서기를 돕겠다는 계획입니다.<br /><br />자립 준비 기간이 끝나도 아직 20대 중반인 청년들을 지원할 방안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br /><br /> "28년까지 (후원금을) 2억까지 모아놓고 자립준비청년 또는 자립 청년을 대상으로 긴급하게 아이들이 힘들어할 때 지원할 수 있는 체계를…."<br /><br />일각에서는 정서적인 지원도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br /><br />현재는 자립전담요원이 일일이 전화를 걸거나 직접 찾아가 교류하고 있는데, 서울의 경우 1,500명의 청년을 30여명이 관리하고 있고, 다른 지역까지 고려하면 상황은 더 심각합니다.<br /><br /> "1인당 맡은 아이들이 평균 한 70명 정도…1대 1로 신뢰 관계를 맺고 그들의 욕구를 파악해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역할)…현실적으로 그게 가능할까…."<br /><br />이제 막 홀로서기를 시작한 아이들이 사회에 잘 적응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어른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br /><br />연합뉴스TV 안채린입니다. (chaerin163@yna.co.kr)<br /><br />[영상취재 기자 김세완]<br /><br />#자립준비 #청년 #지원<br /><b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br /><br />(끝)<br /><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