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새로운 중재안에 이스라엘이 수용 의사를 밝혔지만 하마스는 자신들의 동의한 적 없다며 공개 반발하면서 이번에도 무산될 위기가 커졌습니다. <br /> <br />이를 두고 앞에서는 협상을 지지한다면서 뒤에선 강경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 때문이란 분석이 나옵니다. <br /> <br />정유신 기자의 보도입니다. <br /> <br />[기자] <br />하마스는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최근 미국의 휴전 협상안을 받아들였다는 토니 블링컨 장관의 발언에 크게 반발했습니다. <br /> <br />협상안이 자신들이 동의한 기존 안도 아니고 새로운 안에 동의한 적도 없다며 더 이상 협상은 의미 없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br /> <br />[오사마 함단 / 하마스 대변인 : 우리는 더 이상 협상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젠 실행 방식에 동의해야 합니다. 이스라엘이 합의했다며 새 협상안이 있다고 말하는 것은 미국이 이스라엘에 굴복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br /> <br />이와 관련해 미국 매체 악시오스는 네타냐후 총리의 이중적인 태도 때문에 휴전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졌다고 보도했습니다. <br /> <br />앞으로는 미국에 휴전을 지지한다고 밝혔지만 뒤로는 이스라엘 협상단에 충분한 권한을 주지 않고 강경한 태도로 일관한다는 겁니다. <br /> <br />미국 제안을 지지한다고 말한 것도 사실은 하마스가 거부할 것을 예상한 정치적인 가식일 뿐이라고 이스라엘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습니다. <br /> <br />[노미 바야코프 / 채텀하우스 국제안보 부연구원 / 미국은 이스라엘의 강경한 행동에 인내심을 잃었습니다. 협상에 동의하지 않으면 대가를 치를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br /> <br />이에 따라 지난 15일에 이어 현지 시간 21일 후속 협상이 재개될 전망이지만 답보 상태를 피하기 어려울 전망입니다. <br /> <br />이런 가운데 이스라엘군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남부 칸유니스 하마스 땅굴에서 자국민 인질 시신 6구를 찾았다고 밝혔습니다. <br /> <br />현재까지 하마스에 납치된 인질 251명 가운데 아직 105명이 가자지구에 억류돼 있고, 이 가운데 34명은 숨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br /> <br />이와 별도로 이스라엘군은 레바논 동부 베카밸리 지역의 헤즈볼라 무기고를 기습했습니다. <br /> <br />지난 10개월 동안 이스라엘 국경지대 교전은 계속됐지만, 레바논 동부 깊숙이 타격한 것은 이례적이라고 현지 언론들은 보도했습니다. <br /> <br />이에 맞서 헤즈볼라는 이스라엘 북부 갈릴리와 골란고원을 겨냥해 두 차례에 걸쳐 50여 발의 로켓으로 대응했지... (중략)<br /><br />YTN 정유신 (yusin@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408202316221778<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