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지난 5월 '서울시사회서비스원'을 해산한 이후 돌봄 정책 개편안을 발표했습니다. <br /> <br />그동안 돌봄 서비스를 직접 제공했다면, 앞으론 민간 기관을 중심으로 지원을 강화하겠다며 돌봄 전문 콜센터도 운영하겠다고 밝혔습니다. <br /> <br />차정윤 기자입니다. <br /> <br />[기자] <br />지난 2019년 박원순 당시 시장 시절, 지방자치단체가 돌봄 공백을 해소하겠다며 출범했던 서울시사회서비스원. <br /> <br />하지만 본래 목적과 달리 고난도 중증 어르신 돌봄과 취약시간대 실적이 저조하다는 비판을 받으면서 설립 5년 만인 지난 5월 결국 해산됐습니다. <br /> <br />[오세훈 / 서울시장 (지난 6월) : 서울시는 서사원이 혁신에 성공해서 진정한 의미에서 공공 돌봄 기관으로서 역할을 수행하길 진심으로 바랐습니다. 그러나 우여곡절 끝에 해산 이르렀고….] <br /> <br />앞으로 서울시는 직접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대신, 민간기관을 지원하고 육성하는 데 집중하겠다는 계획입니다. <br /> <br />돌봄 전담 지원 기구인 '사회서비스지원센터'를 만들어 기관 평가를 통해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공공과 민간기관 사이 불필요한 경쟁을 없앤다는 겁니다. <br /> <br />아울러, 돌봄 전문 상담 콜센터를 운영해 시민들에게 필요한 맞춤형 정보와 기관을 안내하기로 했습니다. <br /> <br />중증 치매 환자나 체구가 큰 어르신 등 고난도 돌봄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에는 2인 1조로 돌봄을 제공하도록 추가 인건비가 제공됩니다. <br /> <br />시는 요양보호사·사회복지사들의 근무 환경과 처우 개선 등을 위해서도 노력하겠다며, 5년간 8천7백억 원 투입 계획을 밝혔습니다. <br /> <br />[정상훈 / 서울시 복지실장 : 서울시사회서비스원을 통한 공공의 역할보다는 민간에서 잘할 수 있도록 민간을 지원, 관리하는 역할로 중점을 맞췄습니다. 서사원에서 있었던 인력이 전체 돌봄 서비스 시장의 1%도 안 됩니다.] <br /> <br />다만, 서울시사회서비스원 소속이었던 돌봄 종사자 300여 명에 대해서는 재취업 지원을 위한 퇴직 위로금을 지급했다면서, 고용 승계는 없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br /> <br />YTN 차정윤입니다. <br /> <br />촬영기자: 정희인 <br /> <br />영상편집: 강은지 <br /> <br /> <br /><br /><br />YTN 차정윤 (jycha@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15_202409092054566085<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