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매체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우라늄 농축시설을 현지지도하면서, 핵물질 생산에 총력을 다하라고 지시했다고 보도했습니다. <br /> <br />북한이 우라늄 농축시설을 공개한 건 처음인데, 일단 미국 대선에 개입하려는 의도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br /> <br />이종원 기자입니다. <br /> <br />[기자] <br />비교적 최신 시설로 보이는 공간에 원심분리기들이 빼곡히 들어차 있습니다. <br /> <br />북한이 처음으로 공개한 우라늄 농축시설로, 매체들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현지지도에 나섰다고 전했습니다. <br /> <br />구체적인 시설 위치는 밝히지 않았지만 영변 핵시설이나 평양 인근 강선 단지로 추정됩니다. <br /> <br />김 위원장은 현장을 둘러본 뒤, 보기만 해도 힘이 난다며 전술핵무기 제작에 필요한 핵물질 생산에 총력을 집중해달라고 독려했습니다. <br /> <br />[조선중앙TV : 핵 탄 생산 및 현행 핵물질 생산실태를 료해(파악)하시고 무기급 핵물질 생산을 늘리기 위한 전망계획에 대한 중요과업을 제시하였습니다.] <br /> <br />우라늄 농축시설은 핵탄두 제조에 사용되는 고농축 우라늄을 생산하는 곳입니다. <br /> <br />북한은 영변 원자로에서 소량으로 생산하는 플루토늄보다 은밀하게 대량으로 만들 수 있는 우라늄에 대한 의존도가 더 높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br /> <br />[양욱 /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YTN 출연) : 고농축 우라늄의 경우에는 원심분리기를 통해서 1년 365일 계속 농축을 하면서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br /> <br />전문가들은 북한의 우라늄 농축시설 공개가 대선을 앞둔 미국을 겨냥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br /> <br />다만 7차 핵실험을 위한 준비 카드로 보긴 어렵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br /> <br />핵실험장이 있는 풍계리가 최근 큰 수해를 입은 데다, 중국과 러시아에도 큰 부담이 되기 때문입니다. <br /> <br />[홍민 /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전쟁에 북한이 여러모로 지원하는 것이 절실한 상황인데 핵실험을 할 경우 대북 제재가 강화되고 UN 입지가 약화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중국 역시도 최근 관계가 소원한데 더욱 악화할 가능성이 있겠죠.] <br /> <br />정부는 북한의 핵 보유를 절대 용인하지 않을 것을 분명히 인식해야 할 것이라며, 어떠한 핵 위협이나 도발도 우리 정부와 군의 압도적이고 강력한 대응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엄중 경고했습니다. <br /> <br />YTN 이종원입니다. <br /> <br /> <br />영상편집: 김지연 <br /> <br /> <br /> <br /><br /><br />YTN 이종원 (jongwon@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중략)<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409131405188927<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