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 진압·응급 이송…제독차로 오염물 제거 <br />화재에 방사성 물질도 누출…복합 재난 상황 연출 <br />행안부 주관…기관 관계자·주민 2천2백여 명 참여<br /><br /> <br />원전 인근에서 지진이 잇따라 발생하는 상황에 대비한 훈련이 열렸습니다. <br /> <br />행정안전부가 주관한 훈련으로, 관계자와 주민 등 2천2백여 명이 참여했습니다. <br /> <br />임형준 기자가 현장에 다녀왔습니다. <br /> <br />[기자] <br />원자력발전소 보조 보일러 건물에서 검은 연기가 피어오릅니다. <br /> <br />원전 자체 소방대가 초기 진압을 하고 있는 동안 출동한 119소방대가 특수 차량으로 불길을 제압합니다. <br /> <br />구급대는 부상자를 신속하게 현장 응급 의료소로 옮기고, 육군 화생방대대원들은 제독차로 방사능 오염물을 제거합니다. <br /> <br />[양재완 / 남울주소방서 예방총괄팀장 : 발전소 내 보조 보일러 건물 긴급 보수 작업 중 원인 미상의 화재가 발생하여 소방에서 총력 대응을 위해 13시 10분 대응 3단계와 전국 소방동원령 1호를 발령하였습니다.] <br /> <br />실제 상황은 아니고, 민관이 함께 재난 상황에 대비하는 '레디 코리아(READY Korea)' 훈련입니다. <br /> <br />이번 훈련은 원전에서 120㎞ 떨어진 바다에서 각각 규모 5.0, 8.6 지진이 잇따라 발생한 상황을 가정했습니다. <br /> <br />그 여파로 원전에서 화재와 방사성 물질 누출 등 복합 재난 상황을 연출한 겁니다. <br /> <br />행정안전부 주관 훈련으로 원자력안전위원회 등 관계기관 48곳의 관계자와 주민 2천2백여 명이 참여했습니다. <br /> <br />실제 같은 훈련을 통해 관계 기관은 대응체계를 점검했습니다. <br /> <br />[이한경 /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 : 원전 사고는 대규모 인명 피해로 이어지는 만큼 관련 기관 협조하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훈련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어떤 상황이 발생했을 때 지체하면 굉장히 큰 대가를 치르게 됩니다.] <br /> <br />행정안전부는 오는 11월에도 전기차 화재 발생을 가정한 '레디 코리아' 훈련을 이어갑니다. <br /> <br />원전 사고의 피해는 돌이킬 수 없는 만큼 다양한 상황에 대비한 대응체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입니다. <br /> <br />YTN 임형준입니다. <br /> <br /> <br />촬영기자 : 강태우 <br /> <br /> <br /><br /><br />YTN 임형준 (chopinlhj06@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15_202409252253388502<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