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TN은 소규모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급식 관리를 맡는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영양사들의 열악한 처우에 대해 보도해 드리고 있는데요. <br /> <br />대부분 위탁업체 소속인 이들 상당수는 계약직, 비정규직입니다. <br /> <br />더구나 연차가 쌓여 임금이 올라가면 고용 불안이 커질 수밖에 없는데요. <br /> <br />결국, 문제는 예산이었습니다. <br /> <br />윤성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 <br />[기자] <br />100인 미만 유치원과 어린이집 아이들의 급식 실태를 관리하는 안영란 씨와 서현지 씨, <br /> <br />도서벽지를 발로 뛰며 일한 지 각각 9년, 10개월이 넘었습니다. <br /> <br />모두 비정규직 신분이다 보니 안 씨는 3번 계약을 연장했고, 서 씨는 2년여 뒤에 재계약해야 합니다. <br /> <br />[안영란 /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영양사 : 계약직이고 1년 단위, 2년 단위 이렇게 계약을 해나가고 있어요. 저 같은 경우엔 고연차잖아요? 고연차다 보면 이제 인건비의 한계 때문에 계속 근로에 대해 제 스스로 불안함을 느껴요.] <br /> <br />전국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236곳 가운데 220곳이 위탁 업체인데, 여기 속한 직원 2,300여 명의 96%가 계약직입니다. <br /> <br />지자체가 직영으로 운영하는 경우 정규직, 무기계약직으로 고용을 보장하지만 16곳에 불과합니다. <br /> <br />계약직은 연차가 쌓여 임금이 올라갈수록 고용 불안은 더 심해지는데, <br /> <br />한정된 예산 안에서 인건비가 늘어나면 사업비를 줄일 수밖에 없는 구조 때문입니다. <br /> <br />[고상희 / 급식관리지원센터 여수센터장 : 인건비하고 사업 운영비하고 예산이 합쳐져 있는 구조로 편성돼 있거든요. 직원들 인건비가 상승하면 불가피하게 이제 사업을 줄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 돼요.] <br /> <br />영양사들도 사명감만으로 버티기는 힘든 상황. <br /> <br />서울시 기준,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직원들의 이직률이 지지난해 46%, 지난해는 33%로 조사됐습니다. <br /> <br />현장을 다니며 경험은 쌓은 영양사들이 떠나면 열악한 처우 탓에 새로운 직원을 뽑기도 쉽지 않습니다. <br /> <br />영양사들은 지난해부터 협의회를 꾸리고 예산 증액을 통한 처우 개선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br /> <br />[이민혜 / 전국 급식관리지원센터실무자협의회장 : 누구 하나도 저희를 직원으로 인정해주지 않기 때문에, 그 어느 곳에도 속하지 않고 처우 개선에 관해서도 아무도 책임지려고 하지 않습니다. 이거는 근본적인 체계가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하고요.] <br /> <br />주무부처인 식약처 관계자도 이를 위해 예산을 더 확보하려고 ... (중략)<br /><br />YTN 윤성훈 (ysh02@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410012306486143<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