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암의 일종인 흑색종은 사망률이 70%를 넘지만, 현재 임상에서 쓰이는 항암제는 내성이 잘 생겨 완치가 어려운데요. <br /> <br />국내 연구진이 흑색종이 항암제에 내성을 띠는 과정을 규명해 난치병 치료의 새로운 전략을 제시했습니다. <br /> <br />이성규 기잡니다. <br /> <br />[기자] <br />피부암의 일종인 흑색종은 흑색이나 갈색의 피부 색소를 만드는 인체 내 멜라닌 세포에 이상이 생겨 발병합니다. <br /> <br />흑색종은 전이는 물론 재발도 빈번하게 일어나 사망률이 높은 치명적인 암이기도 합니다. <br /> <br />현재 임상에서 널리 쓰는 항암제는 흑색종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돌연변이 비라프(BRAF) 유전자를 억제하는 방식입니다. <br /> <br />하지만 이마저도 약물 내성 문제가 커 완치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br /> <br />이런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흑색종이 비라프 항암제에 내성을 띠는 과정을 새롭게 밝혀냈습니다. <br /> <br />연구결과 세포의 성장과 증식을 촉진하는 폴리아민이라는 물질이 과다하게 생성되면 비라프 항암제의 내성을 키운다는 겁니다. <br /> <br />폴리아민이 비라프 항암제 내성 유발의 원인이라는 점을 밝힌 것은 이번 연구가 처음입니다. <br /> <br />[김택훈 / KIST 연구원 : 폴리아민의 생성이 증가하면 세포 안에서 미토콘드리아의 생합성마저도 증가한 것을 확인했습니다. 미토콘드리아 활성이 늘어날수록 항암제에 대한 내성이 생기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br /> <br />연구진은 이를 바탕으로 폴리아민의 생성을 차단하는 물질을 개발하면 내성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항암제 개발이 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br /> <br />자외선 노출과 고령화로 전 세계적으로 피부암 환자는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br /> <br />항암제 내성으로 치료가 까다로운 흑색종에 대한 새로운 치료 전략이 난치암 극복의 돌파구가 되길 기대해봅니다. <br /> <br />YTN 사이언스 이성규입니다. <br /> <br /> <br />영상취재 : 김영환 <br />디자인 : 임샛별 <br /> <br /> <br /> <br /><br /><br />YTN 이성규 (sklee95@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5_202410020127434677<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