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윤석열 대통령과 통화에서 '군함과 선박의 MRO 분야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br /> <br />선박 MRO, 어떤 사업인지 알아보고 <br /> <br />트럼프 당선자는 왜 한국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하는지도 간략하게 짚어보겠습니다. <br /> <br />우선 MRO란 유지·보수·정비를 뜻하는 영단어인데요. <br /> <br />선박은 한 번 만들면 최소 30년은 쓰기 때문에 유지·보수·정비가 건조만큼이나 중요한데, <br /> <br />특히 군함은 고장 나도 규모나 안보 측면에서 쉽게 바꿀 수 없기 때문에 이 MRO가 특히 중요합니다. <br /> <br />이런 정비를 원활히 수행하려면 기술력은 물론 부품 수급 네트워크와 드라이도크 등 수리 시설을 잘 갖춰야 하는데요. <br /> <br />드라이도크는 선박을 입항시킨 뒤 물을 모두 빼서 선박의 바닥까지 드러나게 하는 육상 건조 시설인데, <br /> <br />웬만한 조선 강국이 아니면 갖추기 어려운 시설입니다. <br /> <br />그렇다면 트럼프 당선인은 왜 한국 조선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했을까요? <br /> <br />지금 미국은 조선업 명맥이 사실상 끊긴 상황입니다. <br /> <br />2차 대전 당시에는 50여 개 조선소에서 연간 천여 척을 건조하며 시장을 지배했지만 이후 내수에 집중하는 사이 차례로 일본, 한국, 중국에 주도권을 내줬는데요. <br /> <br />문제는 이런 조선업의 약화가 해군력의 약화로도 이어지고 있다는 겁니다. <br /> <br />미국과 패권 경쟁을 벌이고 있는 중국은 강한 조선업 경쟁력을 바탕으로 해군력을 크게 증강했는데, <br /> <br />미국은 건조는커녕 유지보수에도 하세월이 걸리는 상황입니다. <br /> <br />이런 상황에서 미국에게 우리나라는 군함 MRO를 맡길 수 있는 사실상 유일한 선택지입니다. <br /> <br />기술력과 시설, 여기에 미국의 동맹국으로서, 가장 중요한 안보성까지 갖추고 있기 때문인데요. <br /> <br />미국 해군의 MRO 예산은 연간 20조 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br /> <br />이미 몇몇 국내 조선기업들이 미국 내 조선소를 인수하고 미 해군의 MRO 사업에 진출한 상황인데요. <br /> <br />업황에 휘둘리지 않고 안정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는 미 해군의 MRO 사업이 우리 조선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br /> <br /> <br /><br /><br />YTN 조진혁 (chojh0331@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411080914285874<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