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북 정책 관련 주요 자리에 초강경파 내정 <br />’트럼프 2기’ 대북 정책, 대화보다는 강경 전망 <br />북미 관계 불확실성 고조…한국 ’패싱’ 우려도 <br />조태열 외교 장관 "한미 간 조율과 협력 강화" 강조<br /><br /> <br />두 차례나 북미정상회담을 했던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재집권하게 되면서 북미 대화 재개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었는데요. <br /> <br />대북 정책을 좌우하는 주요 참모에 강경파들이 내정되자 트럼프 2기는 다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br /> <br />북미 관계 불확실성이 커진 가운데 우리 정부는 한국의 입장이 배제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해 바쁘게 움직이는 모습입니다. <br /> <br />홍선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 <br />[기자] <br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재집권에 성공하면서 북미 대화 재개 가능성도 함께 커지는 모습이었습니다. <br /> <br />트럼프 당선인 스스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친분을 과시하며 북핵 문제 해결에 자신감을 드러냈기 때문입니다. <br /> <br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당선인 (지난 7월) : 백악관에 돌아가면 김정은 위원장과 잘 지낼 겁니다. 김정은도 내가 돌아오길 바라고 그리워하고 있을 겁니다. 많은 핵무기를 가진 누군가와 잘 지내면 좋은 일입니다.] <br /> <br />그러나 미국의 대북 정책을 관장하는 국무장관과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에 초강경파 인물들이 내정되며 기류 변화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br /> <br />국가안보보좌관에 내정된 마이클 왈츠 하원의원은 북미 간 긴장이 고조되던 지난 2017년, 북한에 대한 선제타격 가능성까지 언급한 강경파고, <br /> <br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내정자는 김정은 위원장을 폭군에 비유하며 제거해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br /> <br />차기 미 행정부의 대북 정책이 대화보다는 초강경으로 갈 가능성이 제기되는 이유입니다. <br /> <br />'대화'와 '강경' 대응 가능성이 공존하면서 향후 북미 관계 불확실성은 더욱 확대하는 모습입니다. <br /> <br />그러나 한반도 평화의 당사자인 우리 입장에서는 대화냐 강경이냐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패싱' 우려입니다. <br /> <br />외교부 고위 당국자는 북미 대화를 하더라도 우리 입장이 반영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는데, 북한과 미국의 강 대 강 대치 속에 우리 입장이 반영되지 못할 가능성을 우려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br /> <br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한미 간 외교 정책 조율과 협력 강화를 강조한 것도 이런 취지로 해석됩니다. <br /> <br />[조태열 / 외교부 장관(지난 12일 : (트럼... (중략)<br /><br />YTN 홍선기 (sunki0524@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411170455089288<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