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안 표결 무산 과정을 CNN과 BBC 등 주요 외신들도 실시간으로 속보를 타전하며 초미의 관심을 보였습니다. <br /> <br />BBC 등은 현지 시간 7일 홈페이지 톱뉴스로 라이브 창을 만들어 본회의장 탄핵안 투표와 여당 불참에 따른 자동 폐기 과정까지 실시간으로 전했습니다. <br /> <br />미국 CNN과 뉴욕타임스도 홈페이지 최상단에 라이브 채널을 개설하고 탄핵 표결부터 무산까지 관련한 속보를 2∼3분 간격으로 전달했습니다. <br /> <br />로이터와 AP 통신도 '한국 국회, 대통령 탄핵 실패'라는 제목의 기사를 긴급 기사로 타전했습니다. <br /> <br />로이터 통신은 "윤석열 대통령이 야당에서 주도한 탄핵 표결에서 살아남았다"며 "여당의 불참으로 정족수 요건을 채우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전했습니다. <br /> <br />AP 통신 역시 여당 다수 의원의 투표 거부로 탄핵안이 무산됐다며, 여당의 보이콧은 대통령직을 야당에 빼앗길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br /> <br />특히 일본은 정규 방송을 중단하고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 국회 표결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기도 했습니다. <br /> <br />일본 공영방송 NHK는 오전 윤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에 이어, 오후 6시에도 정규 방송을 중단하고 국회 탄핵안 표결을 생중계했습니다. <br /> <br />교도통신도 "여당 의원 대부분이 투표를 보이콧 하면서, 의결 정족수 부족으로 윤 대통령의 탄핵안 표결이 무산됐다고 보도했습니다. <br /> <br />아사히신문은 "일본과 관계 강화를 추진해 온 윤 대통령이 탄핵안 결과와 관계없이 구심력을 잃을 것이 확실한 정세"라고 분석했습니다. <br /> <br />중국 관영 신화통신도 국회 본회의 개회 소식에 이어 "김건희 여사 특검법이 3분의 2 찬성을 얻지 못해 부결됐다"며 진행 상황을 상세히 보도했습니다. <br /> <br />중국 CCTV도 첫 보도로 국회의 김건희 여사 특검법 부결, 여당 의원 퇴장 등을 다루고, 역대 한국 대통령의 탄핵 가결 사례 등도 소개했습니다. <br /> <br /> <br /> <br /> <br /><br /><br />YTN 정유신 (yusin@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412072041254271<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