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가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5%를 넘어 역대 최대를 기록하면서 가구당 평균 부채가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 줄었습니다. <br /> <br />하지만 자산 불평등은 심화하고 있고, 노후 대비는 여전히 잘 안 되고 있습니다. <br /> <br />이승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 <br />[기자] <br />결혼이 줄고 인구는 고령화되면서 지난해 1인가구는 782만9천 가구로 전체 가구의 35.5%를 차지했습니다. <br /> <br />2019년 처음 30%를 돌파한 뒤 매년 역대 최대치를 경신하고 있습니다 <br /> <br />처음으로 70세 이상 가구가 가장 많았고 (19.1%), 29세 이하가 뒤를 이었습니다. <br /> <br />1인가구가 늘면서 올해 3월 기준 가구당 평균 부채는 9천128만 원으로, 통계 작성 이래 처음으로 줄었습니다. <br /> <br />하지만 금융부채를 보유한 가구의 평균 금융부채를 보면 1억2천만 원이 넘어(1억 2천261만 원) 지난해 3월보다 2.1% 늘어났습니다. <br /> <br />이 금융부채 보유 가구의 65%는 원리금 상환이 부담스럽다고 답했고, 4.5%는 상환이 불가능할 것이라고 응답했습니다. <br /> <br />지난해 가구당 평균 소득은 7천185만 원으로 6.3% 늘면서 2011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습니다. <br /> <br />일부 지역의 부동산 가격도 올라가며 가구당 평균 자산도 5억4천22만 원으로, 지난해보다 2.5% 늘었습니다. <br /> <br />하지만 자산 격차는 더 커졌습니다. <br /> <br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 기준 최상위 10%의 점유율이 44.4%로 역대 세 번째로 높았고, 자산 불평등도를 나타내는 순자산 지니계수는 역대 2번째를 기록했습니다. <br /> <br />[박은영 / 통계청 복지통계과장 : (최상위층인) 10분위 같은 경우는 금융소득 중에서도 저축액, 그런 부분들이 많이 증가를 했고요. 실물자산 중에서는 거주주택 이외의 부동산 보유 증가가 다른 분위에 비해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br /> <br />66세 이상 은퇴연령층의 빈곤율은 39.8%로 0.1%p 증가했습니다. <br /> <br />은퇴 후 가구주와 배우자의 월평균 적정 생활비는 336만 원으로, 1년 전보다 11만 원 늘었습니다. <br /> <br />하지만 가구주가 은퇴하지 않는 가구 가운데 절반 이상이(52.5%) 노후 준비가 잘 안 돼 있다고 답했습니다. <br /> <br />YTN 이승은입니다. <br /> <br /> <br />영상편집 : 이정욱 <br />디자인 : 정은옥 <br /> <br /> <br /> <br /><br /><br />YTN 이승은 (selee@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412092107251076<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