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방문해서도 ’우크라이나 종전’에만 관심 <br />"트럼프, 동맹도 상관없이 미국 이익에만 관심" <br />"미국 정권 교체기 탄핵사태 발생으로 혼란 가중" <br />1970년 닉슨 행정부, 주한미군 1개 사단 철수 결정<br /><br /> <br />'12·3 비상계엄'으로 촉발된 탄핵 사태는 한국의 전략적 가치를 스스로 깎아내렸습니다. <br /> <br />정권교체기 미국과의 관계 정립이 어려워진 가운데 주한미군 철수를 불러올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br /> <br />권영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 <br />[기자] <br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외국의 내부 정치 사안에는 크게 관심을 두지 않는 성향입니다. <br /> <br />시리아 정권이 무너졌을 때도 미국의 싸움이 아니라며 개입해선 안 된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br /> <br />내각이 붕괴된 프랑스를 방문해서도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에만 관심을 밝혔습니다. <br /> <br />트럼프는 평소 다른 나라의 체제 변화에 관여하는 민주당 정권을 비판해 왔습니다. <br /> <br />이 때문에 동맹도 상관없이 미국의 이익을 위해서만 움직일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입니다. <br /> <br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당선인 : (재임 기간 동안 미국이 나토의 회원국으로 남을 것입니까?) "그들은 비용을 지불해야 합니다. 지불한다면 물론입니다.] <br /> <br />일부 전문가들은 한국의 탄핵 사태가 미국 정권이 민주당에서 공화당으로 바뀌는 시점에 이뤄진 것에 주목합니다. <br /> <br />박정희 전 대통령의 3선 개헌을 전후해 미국은 민주당 존슨 행정부에서 공화당 닉슨 행정부로 넘어가던 시기였습니다. <br /> <br />닉슨은 한국의 리더십이 불안정하다며 주한미군 1개 사단 철수를 결정했습니다. <br /> <br />트럼프도 1기 때 주한미군 철수를 언급한 적이 있습니다. <br /> <br />주한미군 주둔 비용과 관련한 압박은 이미 시작됐습니다. <br /> <br />[도널드 트럼프 / 미 대통령 당선인(지난 10월 15일) : 제가 (백악관에) 있었다면 연간 100억 달러 (14조 원)를 냈을 겁니다. 왜냐면 한국은 '현금인출기'이니까요.] <br /> <br />더 나아가 정치적 불안정을 이유로 주한미군 감축이나 철수 카드를 다시 꺼내 들 수도 있습니다. <br /> <br />비상계엄이 불러온 탄핵으로 스스로 발목을 잡은 한국을 상대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여러 가지를 요구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br /> <br />YTN 권영희입니다. <br /> <br /> <br />영상편집 : 한경희 <br />화면제공 : NBC NEWS MEET THE PRESS <br /> <br /> <br /><br /><br />YTN 권영희 (kwonyh@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412182158367892<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