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대외 원조 중단으로 인해 에볼라, 엠폭스와 같은 위험한 전염병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할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미국 뉴욕타임스(NYT)가 8일(현지시간) 보도했습니다. <br /> <br />과학자들은 미 행정부의 원조 중단으로 세계 각국에서 전염병 발생을 예방하고 차단하는 프로그램이 중단됐다고 전했습니다. <br /> <br />이 때문에 아프리카 전역의 실험실에서 위험한 병원균이 방치되고, 공항 등의 검문소에서는 전염병 감염 검사가 중단됐으며, 수백만마리의 동물이 검역 없이 국경을 넘어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br /> <br />수십년간 미국의 대외 원조를 전담해왔으나 트럼프 2기 행정부 하에서 기관 폐지 수준에 버금가는 구조조정을 당하고 있는 미 국제개발처(USAID)의 관계자들도 세상이 몇주 전보다 더 위험해졌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br /> <br />보복을 우려해 익명을 요구한 USAID의 감염병 전문가 등은 원조 중단이 단행된 시기가 매우 좋지 않다고 지적했습니다. <br /> <br />콩고민주공화국의 경우 현재 역사상 가장 치명적인 엠폭스 발병을 겪고 있고 아프리카의 다른 12개 국가에서도 환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br /> <br />출혈열 바이러스도 각국에서 기승을 부리고 있는데 우간다에서 유행하는 에볼라, 탄자니아에서 기승을 부리는 마르부르크, 나이지리아와 시에라리온에서 확산하는 라사 등이 대표적입니다. <br /> <br />미국도 조류 인플루엔자 위기가 심화하고 있습니다. <br /> <br />USAID는 2023년에 30개국 이상에서 전염병 관련 실험실과 비상 대응 준비에 약 9억달러(약 1조3천억원)를 투입했는데, 관련 프로그램은 대부분 동결된 상태입니다. <br /> <br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공식 문서를 통해 USAID가 과거 외부 단체들과 맺은 총 6천200개의 다년 계약 중 5천800개를 해지하는 등 해외원조 계약의 90% 이상을 해지했습니다. <br /> <br />USAID 보건 담당자는 이런 결정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소아마비 신규 확진자는 매년 20만명 이상 발생하고, 에볼라와 마르부르크와 같은 전염병 환자도 매년 2만8천명 이상 추가로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br /> <br />NYT는 감염병 유입을 막을 많은 보호 장치가 사라지면서 미국인들이 그 대가를 치러야 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br /> <br />코로나19 바이러스도 중국에서 처음 발견됐지만 미국 등으로 빠르게 전파됐습니다.. <br /> <br />사업자금의 약 25%를 미국에 의존하는 비영리단체인 '암레프 헬스 아프리카'의 수장 기틴지... (중략)<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34_202503101038328119<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