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달 우리나라도 예외 없이 미국의 상호관세 리스트에 포함될 것으로 확실시되는 가운데 '민감국가' 목록에도 오른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뜨겁습니다. <br /> <br />안덕근 산업부 장관이 조만간 또다시 방미길에 오를 예정인데, '산 넘어 산' 격인 미국의 통상압박을 버텨낼 수 있을지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br /> <br />황혜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 <br />[기자] <br />미국이 우리나라를 민감국가로 지정한다고 해서 당장 우리 산업이 큰 영향을 받는 건 아닙니다. <br /> <br />다만 핵이나 원자력, 인공지능과 같은 첨단 기술산업 분야에서 미국 측 기관이나 연구소와의 정보 공유나 인적 교류에 제한이 생길 전망입니다. <br /> <br />특히 각국 간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보이는 소형모듈원전 등 차세대 에너지기술을 놓고 한미 협력에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br /> <br />'민감국가' 지정 효력이 시작되는 건 다음 달 15일. <br /> <br />때문에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안덕근 산업부 장관에게 최대한 빨리 미국 에너지부 장관을 만나 '민감국가' 배제를 요청할 것을 지시했습니다. <br /> <br />안 장관이 올해만 벌써 세 번째 방미를 추진 중인 가운데, 과제는 비단 '민감국가'뿐만이 아닙니다. <br /> <br />미국이 다음 달 2일로 예고한 상호관세에 '한국도 예외 없다'는 게 확인되면서 최대한 우리 측 입장을 반영해 관세율을 낮춰야 하기 때문입니다. <br /> <br />특히 미국이 상호관세를 기준점 삼아 나라별로 새로운 양자 협정에 나설 태세라 안 장관의 어깨를 더욱 무겁게 하고 있습니다. <br /> <br />트럼프 1기 행정부 때도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로 한미 FTA가 크게 개정된 적이 있는 만큼 정부 안팎에서는 미국이 FTA 전면 개정이나 대체 협정을 요구할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br /> <br />[장상식 /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 : 그리어 USTR(미 무역대표부) 대표가 얘기한 게 예를 들면 무역 적자 문제, 농축산물 검역, 그다음에 관련된 신약 그런 것들이지 않습니까. 그래서 아마 대부분 다 한미FTA 협상하고 연관이 돼 있는 분야여서요.] <br /> <br />트럼프 신행정부가 출범한 지 2달이 훌쩍 지났지만 우리나라는 계엄과 탄핵 '블랙홀'에 빠져 정상 외교는 물론 고위급 채널 가동도 순탄치 않은 상황. <br /> <br />'민감국가'로 지정된 것도 새카맣게 모를 정도로 '한국 패싱'이 심각하다는 지적 속에 자칫하다가는 미국의 통상압박에 그대로 무릎 꿇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 (중략)<br /><br />YTN 황혜경 (whitepaper@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503171906467591<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