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한국을 포함해 전 세계를 향해 상호 관세를 발표하면서 우리 정부와 산업계에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br /> <br />정부는 대미 협상을 강화하고 수출기업 지원책을 마련하기로 했는데, 사실상 한미FTA가 백지화됐다는 평가에는 강하게 선을 그었습니다. <br /> <br />박기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 <br />[기자] <br />10%의 기본관세에 국가별 개별관세까지, <br /> <br />세계를 상대로 본격적인 무역전쟁의 시작을 알린 트럼프 대통령. <br /> <br />세 차례 워싱턴 D.C를 찾아 미국 정부 관계자들을 설득했던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긴급회의를 열고 유감의 뜻을 밝혔습니다. <br /> <br />[안덕근 /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 글로벌 통상 환경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미 측의 관세 조치가 현실화해서 유감스럽게 생각합니다. 단기 승부가 아니라 지속적인 협의와 조율이 필요합니다.] <br /> <br />이번 상호관세로 사실상 관세 0%로 교역이 가능했던 한미 FTA가 백지화됐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br /> <br />FTA 재개정에 들어가는 것 아니냐는 관측에 정부는 성급하다며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습니다. <br /> <br />[박종원 / 산업통상자원부 차관보 : 한미 FTA를 딱 찍어서 얘기한 적은 한 번도 없기 때문에 한미 FTA 재협상 수순까지 얘기하는 거는 아직 좀 급한 것 같기는 하고요.] <br /> <br />일단 정부는 수출 기업 피해를 줄이기 위해 대미 협상에 힘쓴다는 방침입니다. <br /> <br />또 이달 중 발표를 예고했던 자동차 지원 대책을 다음 주에 내놓기로 했고, 수출 중소기업 보호 방안도 고심하고 있습니다. <br /> <br />[한덕수 /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 자동차 산업은 다음 주까지 긴급 지원대책을 발표하겠습니다. 또한, 관계부처 합동으로 중소ㆍ중견기업 등….] <br /> <br />하지만 당장 코앞에 닥친 수출기업들의 피해를 피할 수는 없습니다. <br /> <br />자동차에 대한 품목별 관세 25%가 발효되자 현대차는 미국 현지 가격을 올릴 계획이 없다며 정면 돌파를 선언했지만, <br /> <br />[호세 무뇨스 / 현대자동차 사장 : 우리는 항상 경쟁력을 유지할 것이며 현재 미국에서 가격을 인상할 계획은 없습니다.] <br /> <br />부품, 장비 업체들까지, 대미 수출 1위 품목인 자동차 산업 생태계 자체가 흔들릴 거란 관측이 나옵니다. <br /> <br />뿐만 아니라 삼성전자 스마트폰 공장이 있는 베트남에 46% 상호관세 폭탄이 떨어지는 등 해외에 생산기지를 둔 다른 업계 기업들도 난감한 상황을 피할 수 없게 됐습니다. <br /> <br />정부와 산업계는 힘을 합쳐 미 관세에 대응한다는 계획이지... (중략)<br /><br />YTN 박기완 (parkkw0616@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504032236127508<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