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록 유예되긴 했지만 미국이 캐나다에 대한 관세 장벽을 높이면서 두 나라의 무역 갈등이 악화일로로 치닫고 있습니다. <br /> <br />특히 "캐나다는 미국의 51번째 주가 되어야 한다"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 캐나다 국민의 반감을 키웠는데요. <br /> <br />캐나다에서는 미국 제품 불매운동이 일어나고 정치권에서도 강한 반발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br /> <br />이은경 리포터가 보도합니다. <br /> <br />[기자] <br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자동차 산업을 보호하겠다며 캐나다와 유럽연합(EU)에서 수입하는 자동차와 부품에 최대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br /> <br />그러자 피에르 폴리에브 캐나다 보수당 대표는 기자회견을 열고 트럼프의 정책을 강하게 비판하며 캐나다 정부와 국민이 단결해야한다고 강조했습니다. <br /> <br />[피에르 폴리에브 / 보수당 대표 : 우리는 직접적인 피해를 입은 기업들이 이 분쟁을 극복하는 데 필요한 유동성을 확보하고 캐나다인으로서 단결하여 피해 업종을 보호할 것입니다. 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우리가 스스로 두 발로 서서 미국에 맞설 수 있도록 강한 자립을 해야 합니다.] <br /> <br />비록 유예되긴 했지만 미국의 관세 정책으로 생필품부터 자동차까지, 다양한 품목의 가격 상승이 예고되자 시민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br /> <br />[토비 스벨레이 / 직장인·캐나다 렝리시 : 우리는 최근에 차를 샀어요. 관세가 부과되면 차를 살 수 없을 수도 있고, 25%나 더 비쌀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계획보다 일찍 차를 샀습니다.] <br /> <br />이런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는 미국의 51번째 주가 되어야 한다"는 발언을 하며 사실상 캐나다의 자주권을 깎아내리는 태도를 보여 논란이 불거졌습니다. <br /> <br />캐나다에서 미국산 제품 불매 움직임까지 번지는 상황입니다. <br /> <br />[데이브 웨버 / 캐나다 밴쿠버시 : 가장 눈에 띄는 건 주류 매장의 선반이 바뀐 겁니다.] <br /> <br />일부 소비자들은 미국 기업이 운영하는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와 쇼핑 플랫폼까지 해지하고 있습니다. <br /> <br />트럼프발 무역 갈등이 캐나다 시민의 불매운동을 뛰어넘어 전통적으로 우방이었던 양국 관계의 지형까지 바꿀 놓을 지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br /> <br />캐나다 밴쿠버에서 YTN 월드 이은경입니다. <br /> <br /> <br /> <br /><br /><br />YTN 이은경 (weeping07@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04120114315817<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