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내수 회복 지연…건설·제조업 고용 어려움" <br />IMF, 올해 한국 성장률 전망 1%로 대폭 하향 조정 <br />큰 폭의 재정 적자…"추가 재정 지출 신중해야" <br />"경기 부양 반복…재정 건전성 훼손에 유의해야"<br /><br /> <br />경제전망기관들이 올해 우리 성장률 전망을 줄줄이 낮추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5개월 연속으로 경기 하방압력이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br /> <br />현실화하고 있는 경기 침체를 완화하기 위해 2차 추경을 신속하게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와 함께 구조개혁에 집중해야 한다는 권고도 나오고 있습니다. <br /> <br />보도에 오인석 기자입니다. <br /> <br />[기자] <br />정부는 이번 달 경제동향 보고서에서 소비와 건설투자 등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건설업과 제조업 중심으로 일자리 어려움이 계속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br /> <br />미국 관세부과에 따른 대외여건 악화로 수출 둔화 등 경기 하방압력도 커지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br /> <br />5개월 연속 '경기 하방 압력 증가' 판단이 이어진 겁니다. <br /> <br />그러면서 13조 8천억 규모의 필수 추경을 신속하게 집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br /> <br />2분기부터 필수 추경 효과가 가시화하면서 연간 GDP 성장률을 0.1% 포인트 끌어 올릴 것으로 정부는 예측했습니다. <br /> <br />[조성중 / 기획재정부 경제분석과장 : 통상 리스크 대응에 총력을 다하는 가운데, 일자리·건설·소상공인 지원 등 민생경제 회복 노력을 지속·강화하도록 하겠습니다.] <br /> <br />하지만 우리 경제를 둘러싼 대내외 불확실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br /> <br />국제통화기금 IMF는 올해 우리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트럼프발 관세 충격을 반영해 석 달 만에 절반 수준인 1%로 대폭 낮췄습니다. <br /> <br />한국개발연구원 KDI는 올해 전망치를 0.8%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br /> <br />현실화하는 경기 침체를 완화하기 위한 2차 추경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br /> <br />[김정식 /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 성장률이 0%대로 떨어질 가능성이 있거든요. 2차 추경을 통해서 내수를 진작시켜 수출 감소분을 흡수하고 민생경제를 살리는데 도움을 줄 필요가 있습니다.] <br /> <br />반면 큰 폭의 재정 적자를 고려할 때 추가적인 정부 지출엔 신중해야 하고, 노동시장 경직성 완화 등 제도 개선에 집중해야 한다는 권고도 나옵니다. <br /> <br />[김지연 / KDI 경제전망실 전망총괄(지난 14일) : 올해 우리 경제의 잠재성장률은 1%대 후반으로 추정됩니다. 잠재성장률 하락 세를 감안해 경제 구조개혁을 위한 정책... (중략)<br /><br />YTN 오인석 (insukoh1@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505180521159038<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