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학기부터 도입된 AI 디지털교과서가 3개월가량 지났습니다. <br /> <br />하지만 교육 현장에서는 여전히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가 엇갈리면서 AI 디지털교과서의 법적 지위에 대한 논란까지 다시 불거지고 있습니다. <br /> <br />JCN 울산중앙방송 박영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 <br />[기자] <br />올해 1학기부터 초등학교 3, 4학년과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처음 도입돼 어느덧 도입 3개월이 지난 AI 디지털교과서. <br /> <br />울산에선 전체 17% 정도의 학교가 사용을 신청했고 신청 학교 대부분이 4월부터 정상적인 운영을 시작했습니다. <br /> <br />그러나 두 달여간의 평가는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가 엇갈립니다. <br /> <br />[임은경 / 이화중학교 교사 : 학생들의 학습 현황을 볼 수 있고 개인 피드백이 즉각적으로 가능하다는 점이 크나큰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반면 개인 패드를 사용하다 보니 학생들이 학습 중 다른 활동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그럴 때 학생들의 화면 제어 기능이 없다는 것은 개선되었으면 합니다.] <br /> <br />이렇듯 학생들의 수업 집중도 저하나 시스템 기술적 문제 등으로 신청 학교들의 실제 하루 평균 이용률은 저조한 걸로 나타났습니다. <br /> <br />실제로 지난달 31일 기준 울산에서 AI 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하기 위해 시스템에 접속한 학생은, 하루 평균 실제 가입자의 24.2%. <br /> <br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높은 수치지만, 울산은 타 시·도와 달리 이용을 원하는 소수의 학교만 AI 교과서를 신청했던 만큼 이용률이 비교적 높았던 걸로 분석됩니다. <br /> <br />AI 디지털교과서에 대해 개선이 필요하단 목소리는 설문조사 결과에서도 나타났습니다. <br /> <br />국회 교육위원회가 지난달 2일부터 18일까지 전국 교원과 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 10명 중 6명은 AI 디지털교과서가 사전 준비 없이 성급하게 도입됐다고 답했습니다. <br /> <br />교육당국이 AI 디지털교과서 정책과 관련해 학교 현장과 적극적 소통을 하고 있냐는 질문엔 65.2%가 소통이 부족하다고 응답했습니다. <br /> <br />이렇듯 도입 준비가 부족했단 평가가 잇따르면서 교육 현장에선 당초 방침이었던 학교 전면 도입이 아니라 원하는 학교만 자율 도입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br /> <br />[박광식 / 울산교사노동조합 위원장 : AI 디지털교과서는 충분한 사전 준비와 검토가 없었고, 현장 의견(반영)도 부족해서 혼란이 가중되었습니다. 이제부터라도 현... (중략)<br /><br />YTN 박영훈 jcn (kimmj0225@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15_202506210212398637<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