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상호관세 유예기한이 다음 달 8일로 다가온 가운데 백악관이 시한이 더 연장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br /> <br />이재명 정부 첫 한미 고위급 통상 협상을 진행하고 있는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미 의회를 찾아 상호 관세 면제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br /> <br />워싱턴 연결합니다. 홍상희 특파원! <br /> <br />백악관이 상호관세 유예기한 연장 가능성을 밝혔죠 <br /> <br />[기자] <br />잠시전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이 브리핑에서 밝힌 내용입니다. <br /> <br />상호관세 유예 시한 연장 여부에 대한 질문에 유예기한 연장 가능성을 밝혔는데요. <br /> <br />들어보시죠. <br /> <br />[캐롤라인 레빗 / 백악관 대변인 : 이 시점에서 7월 8일 유예 기한을 연장할 계획이 없다는 말씀이신가요?) 연장될 수도 있을 겁니다. 하지만 그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결정할 겁니다.] <br /> <br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2일 전 세계 교역국을 상대로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했지만 중국을 제외한 국가에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했는데요. <br /> <br />다음 달 8일 상호관세 유예기한 종료를 앞두고 각국과 관세협상을 벌이고 있지만, 협상은 순조롭지 않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br /> <br />지난 16일 영국과 처음으로 무역협정을 체결했지만 유럽연합과의 협상 등은 여전히 진전을 이루지 못하고 있는데요. <br /> <br />지난 11일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은 의회에 출석해 상호관세 유예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습니다. <br /> <br />트럼프 대통령도 협상 기한을 연장할 용의가 있느냐는 질문에 그렇다면서도 그럴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br /> <br /> <br />우리나라도 현재 미국과 관세 협상 중인데요. 진행 상황은 어떻습니까? <br /> <br />[기자] <br />미국은 우리나라에도 25%의 상호관세와 자동차에 25%, 철강에도 50%의 품목별 관세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br /> <br />미 상무부가 25% 관세를 적용하는 자동차 부품의 종류를 더 늘릴 전망이어서 타격이 예상됩니다. <br /> <br />미 국제무역청은 25% 관세를 내야 하는 자동차 부품의 범주에 새로운 부품을 추가할 수 있는 절차를 마련했다고 발표했는데요. <br /> <br />7월 1일부터 업계 의견 받아 60일 내로 관세 부과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br /> <br />현재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지난 22일부터 미국 워싱턴 DC를 방문해 새 정부 들어 첫 대미 관세 협상을 진행하고 있는데요. <br /> <br />여 본부장은 지난 23일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 제이미슨... (중략)<br /><br />YTN 홍상희 (san@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06270443165419<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