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식수원 북한강 소양호 상류 지역에 올해 또다시 녹조가 발생했습니다. <br /> <br />연일 이어지는 폭염이 원인으로 지목되는데요, <br /> <br />현장에 취재 기자가 나가 있습니다. 홍성욱 기자! <br /> <br />홍 기자 뒤로 보이는 곳이 소양호 상류 지역이군요. <br /> <br />녹조가 얼마나 심한가요. <br /> <br />[기자] <br />네, 불청객 녹조가 또다시 발생했습니다. <br /> <br />물감을 푼 듯, 호수가 온통 녹색으로 변했습니다. <br /> <br />어디가 풀밭이고 어디가 호수인지 쉽게 구별이 되지 않을 정도입니다. <br /> <br />물은 상당히 미지근하고 악취까지 진동하는데요. <br /> <br />녹조가 얼마나 심한지 물을 직접 떠서 보여드리겠습니다. <br /> <br />투명 컵에 담아보면, 이렇게 진한 녹색을 띱니다. <br /> <br />'녹조 라떼'라는 말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br /> <br />원인은 가축 분뇨 등 오염물질 유입과 연일 이어지는 폭염입니다. <br /> <br />수온이 30도 가까이 오르면서 유해 남조류가 이상 번식한 겁니다. <br /> <br />수도권 식수원 소양호 상류 녹조는 올해로 벌써 3년째 이어지고 있습니다. <br /> <br />다행히 사전에 차단막을 설치했고, 발생 즉시 녹조 제거 등 방제작업에 나선 덕분에 식수원 오염 우려는 없습니다. <br /> <br />하지만 어민들은 걱정이 큽니다. <br /> <br />심하면 물고기 집단폐사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br /> <br />문제는 계속되는 폭염입니다. <br /> <br />당분간 비 소식도 없어 더 걱정입니다. <br /> <br />이 때문에 방제 작업을 벌여도 녹조가 더 넓게 번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br /> <br />여름철마다 반복되는 소양호 상류 녹조. <br /> <br />어민 피해와 식수원 오염 우려를 지울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합니다. <br /> <br />지금까지 소양호 상류 녹조 발생 현장에서 YTN 홍성욱입니다. <br /> <br />영상기자 : 성도현 <br /> <br /> <br /><br /><br />YTN 홍성욱 (hsw0504@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15_202507311133488496<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