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prise Me!

무역 합의 뒤에도 트럼프 압박 여전...한국 등 대응 고심 / YTN

2025-08-26 2 Dailymotion

주요 무역국과의 관세 합의 이후에도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와 대미 투자, 시장 개방 압박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br /> <br />정상회담을 진행한 우리나라는 물론이고 일본과 인도, 중국 등 주요국들은 대응에 고심하고 있습니다. <br /> <br />뉴욕에서 이승윤 특파원입니다. <br /> <br />[기자] <br />한미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시종일관 대미 투자를 압박했습니다. <br /> <br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에너지를 보유하고 있고 한국과 협상 중인데 알래스카에서 합작 투자를 할 겁니다.] <br /> <br />이에 대한항공 70조 원, 현대자동차 36조 원, 한화오션 1조 원 등 우리 기업들은 208조 원 규모의 대미 투자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br /> <br />여기에 만족하지 않고 트럼프 대통령은 추가 시장 개방까지 요구하며 또 관세 카드를 빼 들었습니다. <br /> <br />외국 정부의 디지털 규제에 대해 미국 기술 기업을 겨냥한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이런 규제를 도입한 국가에 관세를 추가로 부과하겠다는 겁니다. <br /> <br />그동안 미국 기업들이 한국의 디지털 규제가 미국에만 불리하게 적용된다고 주장해왔던 만큼 한국도 안전지대는 아닙니다. <br /> <br />유럽연합은 규제는 고유의 권리라고 반박했지만, 트럼프 행정부와 무역 합의를 체결하더라도 추가 관세 압박에 취약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br /> <br />이에 일본은 미국과 무역 합의 때 약속한 5,500억 달러의 대미 투자 협의를 통해 투자 수익 배분 방식을 자국에 유리하게 구체화한다는 방침입니다. <br /> <br />중국도 무역 관련 최고위급 인사를 미국에 파견해 무역 협상을 재개하고 20% 대중 관세 철회와 미국산 대두 수입 문제 논의에 나섭니다. <br /> <br />50%의 높은 관세에 고심 중인 인도는 트럼프 행정부와 가까운 로비 업체를 고용하는 등 해결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입니다. <br /> <br />미국에 진출한 한국 제조업계 관계자들은 정부 주도 아래 기업들이 '원 팀'이 돼 트럼프 행정부와의 추가 협상에 일사불란하게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br /> <br />뉴욕에서 YTN 이승윤입니다. <br /> <br /> <br />촬영 : 최고은 <br /> <br /> <br /><br /><br />YTN 이승윤 (risungyoon@ytn.co.kr)<br /><b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br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br />[전화] 02-398-8585 <br />[메일] social@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508270650280840<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Buy Now on CodeCany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