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서방 안전보장군을 우크라이나에 배치하겠다는 방안에 대해 5일(현지시간) "그들을 정당한 타격 목표물로 간주할 것"이라고 강하게 반발하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도해온 종전 구상에 심각한 차질을 빚게 됐습니다. <br /> <br />푸틴 대통령은 "파병 부대의 우크라이나 주둔 가능성은 우크라이나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로 끌어들인 근본 원인 중 하나였다"며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보였습니다. <br /> <br />실제로 러시아는 지난 4일 우크라이나 북부에서 지뢰 제거 작업을 하던 덴마크난민위원회(DRC) 소속 우크라이나인들을 미사일로 공격해 2명이 숨지기도 했습니다. <br /> <br />푸틴 대통령의 이와 같은 반응은 트럼프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유럽의 `의지의 연합` 참여국 등이 그간 논의해온 종전과 평화 유지 방안을 사실상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거부 의사를 밝힌 것으로 풀이됩니다. <br /> <br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하루 전인 4일 `의지의 연합` 정상들과 회의를 열어 양국의 휴전 또는 평화 달성 이튿날 서방 26개국이 참여하는 안전보장군을 파병하기로 합의했습니다. <br /> <br />우크라이나에 대한 안전보장은 젤렌스키 대통령이 종전 협상의 전제 조건으로 요구한 것입니다. <br /> <br />트럼프 대통령도 지난달 18일 젤렌스키 대통령을 포함한 유럽 각국 정상들과의 회담에서 나토식 집단방위와 유사한 형태의 안전 보장을 제공하는 방안에 동의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br /> <br />미군의 직접 배치에만 소극적인 입장을 보였을 뿐입니다. <br /> <br />종전으로 다가서는 첫 단추부터 어긋나고 있는 모양새인데, 트럼프 대통령이 공을 들인 푸틴-젤렌스키 양자 회담도 사실상 결렬되는 분위기입니다. <br /> <br />푸틴 대통령은 회담 준비가 다 됐다면서도 "최적의 장소는 러시아의 수도 모스크바"라고 말하는 등 사실상 회담에 임할 마음이 없다는 사실을 내비쳤습니다. <br /> <br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전쟁 평화 협상을 위해 설정과 유예를 반복한 데드라인도 모두 만료됐습니다. <br /> <br />오히려 러시아는 이 기간 우크라이나에 대해 여러 차례 공습을 감행해 유럽연합(EU) 대표부 건물이 피해를 보기도 했습니다. <br /> <br />이런 가운데 러시아가 중국·인도 등과 사실상 반미 연대를 구축하고 있는 형세라는 점에서 앞으로도 종전 관련 진전이 이뤄지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습니다. <br /> <br />트럼프 대통령도 SNS ... (중략)<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34_202509061802349312<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