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물용 수요’는 실종…’투자용 수요’는 급증 <br />달러 약세·미 금리 인하 기대로 국제 금값 ’불쑥’ <br />전문가 "아직 금값 고점이라고 보긴 힘들어"<br /><br /> <br />국제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할 정도로 급등하자 금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지고 있습니다. <br /> <br />돌 반지 한 돈이 73만 원을 넘으면서 선물용 수요는 싹 사라지고 대신 투자 목적으로 10돈이나 100g 단위 고중량 골드바를 사려는 수요가 늘고 있습니다. <br /> <br />류환홍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 <br />[기자] <br />5월 이후 잠잠했던 금값이 최근 다시 오르자 그간 잠잠했던 금 투자 열기가 되살아나고 있습니다. <br /> <br />고점이라 생각해 팔려는 사람도 있지만 대부분 구매를 생각하는 사람들입니다. <br /> <br />돌 반지 한 돈이 73만 원을 넘으면서 반지나 팔찌, 목걸이 등 수요는 싹 사라졌고 대신 투자 목적으로 10돈이나 100g, 500g, 1kg 등 고중량 골드바를 찾는 사람들이 부쩍 늘어났습니다. <br /> <br />[서민철 / 한국금거래소 상무 : 예전에 생활용품화 하던 금이 투자상품으로 완전히 변화하고 있는 그런 시대다 이렇게 생각이 됩니다.] <br /> <br />지난 4월 사상 최고치를 찍은 뒤 횡보하던 국제 금값은 최근 트로이온스 당 3,670달러를 넘으며 가파르게 상승 중입니다. <br /> <br />달러화가 약세인 데다 이달 중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가 확실시되면서 안전자산으로서 달러나 미국 국채 대신 금의 매력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br /> <br />금값이 오르면서 이런 실물 투자에 대한 관심도 높지만 금 통장이나 금 ETF 등 투자상품에 대한 수요도 커지고 있습니다. <br /> <br />지난 4일 기준 국민·신한·우리은행 3곳의 금 통장 잔액은 1조 1,981억 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50% 이상 급증했습니다. <br /> <br />금 ETF 매수도 늘어나 지난 8일 기준 금 ETF 10종의 순자산은 2조 2,824억 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2.6배나 폭증했습니다. <br /> <br />전문가들 사이에선 아직 국제 금값이 고점이라고 보긴 힘들며 미국 연방준비제도 통화정책 기조가 바뀌지 않는 한 금값은 더 오를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br /> <br />[황병진 / NH투자증권 FICC리서치부장 : 연준이 다시 또 이제 통화정책 완화가 일단락되고 이제 동결이라든가 인상으로의 그런 전환 가능성이 높은 시기는 뭐 2027년 이후다라고 보게 되면요. 저희는 금값의 고점은 내년도 어느 시점이 될 거다라고….] <br /> <br />주요 국가들의 중앙은행이 외환보유액으로 금 매수에 나서는 점도 국제 금값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2010년대 ... (중략)<br /><br />YTN 류환홍 (rhyuhh@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509092252509918<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