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 꿈이었던 이곳 관광을 위해 왔는데 문을 닫은 모습이 실망스럽네요.” <br /> 미국 텍사스 출신 레이 스쿤다(66)는 1일(현지시간) 워싱턴 기념탑을 관람하기 위해 수도 워싱턴 DC를 찾았지만 입구에 붙은 시설 임시 폐쇄 안내문을 보고 실망스러워하며 워싱턴타임스에 이렇게 말했다. 안내문에는 ‘정부 셧다운으로 인해 추후 공지 때까지 기념탑을 폐쇄한다’는 문구가 적혀 있었다. <br /> <br /> 미 의회의 연방정부 예산안 합의 처리 실패로 1일 0시 1분을 기해 셧다운(일시적 업무 정지)에 들어가면서 시민들 불편이 현실화했다. 첫날인 만큼 파급 효과가 제한적이었고 공항ㆍ국세청ㆍ우체국 등 필수 기관은 정상적으로 가동됐지만, 일부 공공기관과 관광명소 시설이 문을 닫았다. 도심 한복판에 명소가 즐비한 워싱턴 DC에서는 워싱턴 기념탑을 비롯해 국립기록보관소, 국립식물원, 의회 도서관 및 방문자센터 등이 셧다운 영향으로 이날부터 폐쇄됐다. <br /> <br /> 워싱턴 DC 내 국립자연사박물관ㆍ국립항공우주박물관 등 박물관을 운영하는 스미소니언 협회는 이날 홈페이지를 통해 “박물관ㆍ연구소ㆍ국립동물원은 오늘 개방하며 적어도 오는 6일까지는 개관할 것”이라고 알렸다. 하지만 셧다운이 장기화할 경우 7일 이후는 개관을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br /> <br /> <br /> ━<br /> 일부 공원·공공기관·관광명소 폐쇄 <br /> 미 전역의 국립공원들은 대부분 문을 열었지만 메인주 아카디아 국립공원, 플로리다주 에버글레이즈 국립공원 등은 방문자센터나 화장실 운영을 일부 제한하는 식으로 운영됐다. 애틀랜타의 지미 카터 대통령 도서관 등 일부 공공시설이 폐쇄돼 이를 모르고 찾은 이용객들이 발걸음을 돌려야 했다. <br /> <br /> 뉴욕타임스(NYT)는 “연방정부 셧다운으로 공항 대기 시간 증가, 일부 공원의 시설 폐쇄, 관광 수입의 상당한 손실이 초래될 수 있다”고 짚었다. 미 국립공원보호협회는 방문객 요금 수입이 하루 최...<br /><br />기사 원문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71813?cloc=dailymotio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