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br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심상치 않습니다.<br /><br />트럼프 당선자가 미국 대통령 당선자로서는 37년 만에 처음으로 타이완 총통과 전화통화를 한 데 이어 중국의 '하나의 중국' 정책을 비판하고 나서면서 중국이 발끈했습니다.<br /><br />미중 간 파열음이 날 경우 자칫 북한이 어부지리를 얻는 상황이 조성될 수도 있다는 전망이 우세합니다.<br /><br />김주환 기자가 보도합니다.<br /><br />[기자]<br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당선자 : 하나의 중국 정책을 잘 이해하고 있지만, 미국이 왜 이 정책을 따라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br /><br />트럼프 당선자의 이 발언은 중국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습니다.<br /><br />'하나의 중국' 원칙은 중국 대륙과 타이완, 홍콩, 마카오 등을 모두 중국의 영토로 보고 이중 오직 중국만을 합법 정부로 인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br /><br />특히 타이완 해협, 이른바 양안을 마주하고 있는 중국인은 모두 하나의 중국에 포함된 것으로 간주하고 있습니다.<br /><br />중국이 절대 지켜야 하는 핵심이익이기 때문입니다.<br /><br />그런데 미국이 타이완과 국교를 끊은 지 37년 만에 트럼프 당선자가 타이완 총통과 전화통화를 한 데 이어 '하나의 중국' 정책까지 비판하고 나서자 중국이 발끈했습니다.<br /><br />[겅 솽 / 중국 외교부 대변인 : 중국의 핵심 이익에 관한 문제로써 (하나의 중국) 원칙이 손상된다면 미중 관계의 건강한 발전과 두 나라의 협력은 불가능해질 것입니다.]<br /><br />미국과 중국 간 파열음이 커질수록 우리로선 달가울 리 없다는 게 큰 문제입니다.<br /><br />중국이 북한을 지렛대로 내세워 미국을 압박할 경우 북한의 전략적 중요성이 부각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br /><br />[김열수 / 성신여자대학교 교수 : 중국이 북한에 대한 압박 정책을 완화시키고 오히려 북한을 정치적이고, 외교적이고, 군사적이고, 경제적으로 도와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수 있기 때문에...]<br /><br />이렇게 될 경우 북한이 어부지리를 얻게 되는 상황이 오게 되고, 대북제재는 무용지물이 될 수도 있습니다.<br /><br />이 때문에 미중간 파열음이 커질 수록 북핵 문제와 미사일 도발에 직면한 한반도는 더욱 엄혹한 환경에 처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br /><br />YTN 김주환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01_201612131848414189<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br /><br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