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은행과 금융산업의 과제를 살펴보는 연속 기획보도.<br /><br />오늘은 마지막 순서로 인터넷은행의 문제점과 과제에 대해 살펴봤습니다.<br /><br />아직 초기이긴 하나 본래 취지와는 달리 우량고객 위주의 대출 영업에만 치중하고 있다는 문제가 노출됐는데, 기존 은행과는 차별화된 상품과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br /><br />박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br /><br />[기자]<br />올해 4월과 7월에 출범한 케이뱅크와 카카오뱅크의 지금까지 실적은 기대 이상입니다.<br /><br />벌써 계좌 개설 건수가 450만 건에 달하고 여수신 규모는 월평균 80% 이상 가파르게 늘고 있습니다.<br /><br />하지만 인터넷 전문은행 돌풍을 일으킨 '낮은 금리' 혜택은 대부분 우량 고객들에게만 돌아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br /><br />케이뱅크와 카카오뱅크의 고신용자 대출 비중은 88%에 달해, 시중은행보다 9% 이상 높았습니다.<br /><br />반면 중신용자 대출 비중은 시중은행보다 훨씬 떨어집니다.<br /><br />중·저신용 등급 고객 위주의 틈새시장을 개척할 거라는 당초 기대에선 한참 벗어난 모습입니다.<br /><br />[조남희 / 금융소비자원 대표 : 인터넷 전문은행이 어떤 자본의 한계, 인력의 한계 때문에 광범위한 신용평가의 능력이나 시스템을 제대로 구축해 놓지 못한 그런 한계가 있었거든요.]<br /><br />혁신적인 서비스 제공을 기대했지만, 아직은 마이너스 통장, 신용대출 중심 여신 서비스에 그치고 있는 것도 현실입니다.<br /><br />하지만 '높은 예금금리와 낮은 대출금리'를 내세운 영업으로 높은 수익을 내기엔 한계가 있습니다.<br /><br />게다가 시중은행들까지 금리와 수수료 인하, 시스템 개선으로 맞대응하고 나서면서, 이젠 인터넷 전문은행만의 특별한 장점을 찾기가 어렵다는 지적까지 나옵니다.<br /><br />[성태윤 /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 보다 혁신적인 형태의 상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고, 이를 금융소비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체계를 강화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고요.]<br /><br />편리함과 신선함으로 돌풍을 일으킨 인터넷 전문은행.<br /><br />출범 목표인 금융산업의 '메기' 역할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좀 더 혁신적인 서비스와 차별화된 상품이 절실해 보입니다.<br /><br />YTN 박영진[yjpark@ytn.co.kr]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02_201710030606427012<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