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br />국내 항공기 산업의 현주소와 전망을 짚어보는 기획 보도, 마지막 순서입니다.<br /><br />국내 항공기 산업, 그중에서도 세계시장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민간항공기 분야에 대한 우리 정부의 구체적인 전략은 사실상 없는 실정입니다.<br /><br />전문가들은 걸음마 수준인 민항기 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정부가 전략적으로 나서 중소항공업체를 육성하고 국제공동개발사업 등에 반드시 참여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br /><br />오태인 기자의 보도입니다.<br /><br />[기자]<br />한국항공우주산업, KAI가 개발한 고등훈련기 T-50은 대한민국을 세계에서 6번째 초음속 항공기 수출국으로 만들었습니다.<br /><br />이를 바탕으로 항공산업의 강국인 미국으로 수출까지 앞두고 있습니다.<br /><br />문제는 군용기에서는 눈에 띄게 성장했지만, 민간항공기 분야는 아직 걸음마 수준이라는 점.<br /><br />보잉과 에어버스 등에서 수주를 받아 동체 부품을 조립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습니다.<br /><br />[박현우 / KAI 민수사업총괄 팀장 : 현재 KAI는 대형 민항기 시장에 완제기는 납품하지 못하고 부품 크기의 기체 구조물을 납품하고 있습니다. 이른 시일 내에 항공기 주요 부품을 납품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br /><br />그러면 우리 민간항공기 산업 발전은 정말 요원한 것일까?<br /><br />업계에서는 정부가 전략적으로 나서 중소항공업체를 육성하고 연구개발 지원 확대가 선행돼야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고 말합니다.<br /><br />특히 외국 항공기 업체의 하도급 구조를 벗어나기 위해 정부 주도의 국제공동개발사업은 꼭 필요하다는 주장입니다.<br /><br />국제공동개발사업 참여는 안정적 물량확보와 생산과 고용의 증가를 가져다주기 때문입니다.<br /><br />하지만 우리 정부는 민간항공기 개발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도 없이 항공산업 7대 선진국을 외치고 있습니다.<br /><br />[안명관 / 창원문성대학교 교수 : 다른 국가들하고 연계해 두 그룹 (보잉과 에어버스)을 뛰어넘을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한국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 연계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br /><br />세계 항공우주산업 시장은 조선, 반도체 시장보다 큰 4천600억 달러, 537조 원 규모의 거대 시장입니다.<br /><br />연평균 5.6% 정도 성장해 2020년에는 7천500억 달러, 876조 원 이상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br /><br />특히 중형 여객기를 중심으로 민간항공기 사업 비중은 더 커질 것으로 보여 절대 포기해서는 안 되는 산업 분야입니다.<br /><br />성장하고 있는 거대 산업 시... (중략)<br /><br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15_201701311125461378<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br /><br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