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교통이 열악한 일부 농어촌 지역에선 지자체 지원을 받아 운영되는 이른바 '100원 택시'가 큰 호응을 얻고 있는데요. <br /> <br />국토부와 농림부가 교통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이 같은 교통 서비스를 확충하기로 했습니다. <br /> <br />예산 552억 원을 투입할 예정입니다. <br /> <br />이하린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 <br />[기자] <br />전남 나주의 한 농촌 마을! <br /> <br />전체 여덟 집밖에 안 되는 작은 마을로 버스가 다니지 않지만, 주민들은 크게 불편하지 않습니다. <br /> <br />지자체의 지원을 받는 이른바 '100원 택시' 덕분입니다. <br /> <br />'100원 택시'는 교통 벽지에서 노선버스 등을 대체하는 택시와 소형버스 서비스로, 요금이 저렴해 상징적으로 '100원'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br /> <br />지난 2014년부터 일부 지역에 시범 도입된 뒤 큰 호응을 얻고 있는데, 정부는 이 같은 교통서비스를 대거 확충하기로 했습니다. <br /> <br />국토부와 농림부는 전국 지자체 담당자 등 2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설명회를 열고, <br /> <br />올해 '100원 택시' 지원 사업에 72억 원, 버스 지원 사업에 480억 원을 투입하겠다고 밝혔습니다. <br /> <br />국토부가 78개 시 지역을, 농림부가 82개 군지역을 맡아 지원합니다. <br /> <br />[김기대 / 국토교통부 대중교통과장 : 중앙정부에서 재정 지원을 확대하겠다는 입장입니다. 국토부는 도시형 교통모델사업을, 농림부는 농촌형 교통모델사업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br /> <br />오는 7월 노선버스에도 주 52시간 근무제가 적용되면 버스 사업자들이 농어촌 노선 운행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미리 대책을 마련한 겁니다. <br /> <br />수익성이 낮은 노선에 대형버스 대신 소형버스를 투입해 농어촌 노선을 유지하도록 버스 구입비와 운영비 일부를 지원하는데, 버스 운임은 지금처럼 600원∼천 원 수준이 될 전망입니다. <br /> <br />정부는 이번 사업이 단순한 교통서비스 제공 차원을 넘어 농어촌 지역 고령 주민의 의료·문화·복지서비스가 실질적으로 개선되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br /> <br />YTN 이하린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1901230533484230<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