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의 붉은 수돗물 사태는 인천시가 수도관로를 변경하면서 사전에 수도관의 이물질을 제거하지 않고 성급하게 관로를 변경한 것이 직접적인 원인으로 밝혀졌습니다. <br /> <br />또 배수 작업을 제대로 하지 않고 늑장 대응한 것이 사태를 장기화시킨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br /> <br />황선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 <br />[기자] <br />지난달 30일 인천 공촌 정수장이 전기점검으로 수돗물을 공급할 수 없게 됩니다. <br /> <br />부근의 수산정수장 물을 공촌 정수장으로 끌어온 다음 다시 각 지역으로 보내는데 이때 충분한 사전준비 없이 수압을 높였습니다. <br /> <br />수도관로를 변경할 때는 물이 흐르는 방향이 바뀌면서 녹물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밸브를 천천히 열어 수질이 나빠지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br /> <br />하지만 인천시가 성급하게 가압을 했고 이 바람에 수도관에 붙어있던 이물질이 한꺼번에 떨어져 나왔습니다. <br /> <br />[김영훈 / 환경부 물통합정책국장 : 제수 밸브 조작 위주로만 계획을 세우는데 그치고 밸브 조작 단계별 수질 변화에 대한 확인 계획은 수립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br /> <br />인천시의 부실 대응은 이뿐만이 아닙니다. <br /> <br />수질을 측정하는 탁도계가 고장났지만, 정부조사단이 고장을 확인하고 통보할 때까지 고장 난 탁도계만 믿고 수질은 이상이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br /> <br />[조석훈 / 환경부 물이용기획과장 : 갑자기 (탁도가) 3배 정도 증가하면 수질 이상 신호이기 때문에 현장 점검을 들어가고 물 흐름을 차단한다든가 조치를 했어야 한다는 얘기입니다.] <br /> <br />이번 사태가 장기화한 데는 늑장 배수 작업도 한몫했습니다. <br /> <br />수도관의 배수 지점을 표시한 도면이 없어 체계적인 배수 작업이 늦어진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br /> <br />환경부는 붉은 수돗물이 수질 기준은 충족했지만 알류미늄, 망간 등 성분이 평소보다 높아 바로 마시는 것을 권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br /> <br />환경부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상수관망 기술진단과 주기적인 청소를 의무화할 계획입니다. <br /> <br />YTN 황선욱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1906182216160651<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