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미국과 거의 실시간으로 긴밀히 소통했다는 점을 내세우면서 이번 결정을 미국 정부도 이해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br /> <br />지소미아 협정이 없을 때도 한미일 정보 공유는 이뤄져 왔다면서 안보 공백은 있을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br /> <br />김도원 기자입니다. <br /> <br />[기자] <br />청와대는 한일 군사정보 보호협정 종료가 한일관계는 물론 한미 관계, 한미일 협력에 미칠 영향도 신중히 검토했다고 밝혔습니다. <br /> <br />특히 미국과는 거의 실시간으로 긴밀히 소통했다고 강조했습니다. <br /> <br />청와대 관계자는 우리의 외교적 노력에 일본의 반응이 없다면 협정 종료가 불가피하다는 점을 역설했다면서, 미국은 우리 결정을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br /> <br />또, 앞서 미국이 한일 양국에 제안했던 현상동결, 이른바 '스탠드 스틸' 합의도 긴밀한 한미 소통을 통해 만들어낸 거라고 소개했습니다. <br /> <br />비건 미 대북특별대표와 김현종 국가안보실 2차장의 면담에서도 협정 종료 문제가 논의되는 등 양국은 다양한 통로로 소통하고 있다는 설명입니다. <br /> <br />비건 대표는 2박 3일 방한 일정을 하루 연장했고 우리 정부의 지소미아 종료 결정은 미국 측에도 신속하게 전해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br /> <br />[김현종 /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 : 우리가 하여튼 신중히 검토할 거다, 그리고 우리 국익에 합치하도록 판단을 잘해서 내용을 결정할 거라고 얘기했습니다.] <br /> <br />청와대는 실리 면에서도 협정이 그다지 유용하지 않다고 설명했습니다. <br /> <br />지난 2016년 11월 협정이 체결된 뒤 지금까지 한일 양국간 정보 교환횟수는 29번에 그쳤고, 최근 감소 추세였다는 겁니다. <br /> <br />북한의 미사일 발사 상황을 예로 들며 일본 측이 정보 교류를 요청하는 경우가 더 많다고도 밝혔습니다. <br /> <br />협정이 없을 때도 한미일 3국 간 군사정보 교환은 이뤄졌고, 협정이 종료돼도 필요할 경우에는 한미일 정보공유협정을 통해 일본과 협력할 수 있다고 청와대는 설명했습니다. <br /> <br />또, 국방예산 증가, 남북 간 군사적 긴장 완화, 북미 대화 모색 등으로 안보상황도 진전된 상태라고 평가했습니다. <br /> <br />청와대는 우리 군과 한미 연합자산을 통해 한반도 상황의 면밀한 감시가 가능하다면서, 지소미아 종료 결정으로 인한 정보 공백나 감시 공백은 있을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br /> <br />YTN 김도원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1908222156286329<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