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방위비 분담금 협상에서 50억 달러라는 황당한 금액을 은근히 흘리면서 한국 정부를 압박했던 미국 측이 협상 전략을 수정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br /> <br />미국의 태도 변화는 한국에서 반미 정서가 조성되는 움직임이 나오는 것에 대해 반응한 것으로 보이지만, 획기적인 방위비 인상이라는 초기 목표에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br /> <br />왕선택 통일외교 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 <br /> <br />[기자] <br />제임스 드하트 미국 방위비 분담 협상 대표는 지난 9월 제1차 회의 이후 처음으로 한국 언론 질문에 성의있게 답변하는 장면을 연출했습니다. <br /> <br />지난 3차 회의에서 회담장을 박차고 나간 것과 전혀 다른 모습입니다. <br /> <br />내용에서도 그동안 미국이 요구한 금액으로 알려진 50억 달러, 우리 돈으로 약 6조 원은 현재 협상 상황을 반영한 것이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br /> <br />주한미군 철수 문제가 협상에서 전혀 논의되지 않았다는 점을 재확인한 것도 태도 변화 사례로 평가됩니다. <br /> <br />이처럼 미국이 협상 태도를 변경한 것은 터무니없는 규모인 50억 달러 요구설이 나오면서 한국에서 반미 감정 확산을 우려한 결과로 분석됩니다. <br /> <br />미국에서도 동맹을 돈으로만 접근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비판 여론이 조성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br /> <br />그러나 협상 초기 터무니없이 큰 금액을 요구했다가 이후 금액을 내리면서 유리한 협상 환경을 조성한다는 기본적인 협상 전술에 따른 행보라는 해석도 가능합니다. <br /> <br />문제는 미국의 태도 변경 배경이 무엇이든, 방위비를 획기적으로 높여서 받아내겠다는 목표는 변하지 않았다는 부분입니다. <br /> <br />오히려 한국에서 50억 달러 요구설이 퍼지면서 미국은 초기 목표인 협상 기준점 높이기에 성공했다고 보고 이제부터는 20억 달러 즉 2조 4천억 원 정도를 받아내기 위한 협상에 역량을 집중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br /> <br />이에 반해 우리 정부가 기존 특별 협정 틀에서 최대로 올려줄 수 있는 금액은 1조 천억 원 정도로 추산돼, 2조 4천억 원도 황당한 금액이라는 점에서는 다르지 않습니다. <br /> <br />미국 협상 대표들이 유연한 방향으로 태도를 변경한 것으로 보이지만, 우리 정부 협상 대표들은 오히려 이제부터 더욱 힘겨운 협상에 직면한 것으로 관측됩니다. <br /> <br />YTN 왕선택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1912190505501525<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