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수도권 주택 공급 기반을 확대하기 위해 오는 2022년까지 서울 도시에 7만 채의 집을 지을 수 있는 부지를 추가로 확보하기로 했습니다. <br /> <br />이를 위해 사업 추진이 지지부진한 재개발 사업에 공공기관 등이 참여해 속도를 내고, 각종 규제도 완화해 주택 공급 후보지를 최대한 만들어 내기로 했는데요. <br /> <br />이를 통해 오는 2023년부터는 수도권에 연평균 25만 채 이상의 주택이 안정적으로 공급될 전망입니다. <br /> <br />김현우 기자의 보도입니다. <br /> <br />[기자] <br />정부가 발표한 수도권 주택공급 추진 방안은 크게 3가지입니다. <br /> <br />우선 3년에 걸쳐 서울에 주택 7만 채 공급을 위한 부지를 추가로 마련하겠다는 구상입니다. <br /> <br />이를 위해 장기 표류 중인 재개발 사업에 LH와 SH 등을 참여시켜 속도를 내기로 했습니다. <br /> <br />또 준공업지역 내 공장 이전 부지를 활용하고, 공실 상가 등을 정부가 매입해 1인용 공공임대를 활성화한다는 방침입니다. <br /> <br />국유지와 코레일 부지 등 도심 내 유휴부지도 추가로 확보해 공공임대주택 건설을 위한 기반을 마련할 예정입니다. <br /> <br />특히 서울 용산역 정비창 부지를 개발해 미니 신도시 격인 8천 가구의 주택을 지을 수 있는 땅을 확보하기로 했습니다. <br /> <br />LH와 SH가 참여하는 공공 재개발 사업 활성화를 위해 조합원이 내야 할 분담금 부담을 완화하고, <br /> <br />재개발로 밀려나는 세입자 지원도 대폭 늘리기로 했습니다. <br /> <br />통상 만㎡ 미만 규모 '소규모 주택정비사업'의 용적률 완화 조건을 개선해 사업성을 높이기로 했습니다. <br /> <br />특히 소규모 정비사업을 추진할 때 공용주차장을 함께 건설할 경우, 의무적으로 확보해야 하는 주차 면수를 최대 50%까지 면제해주기로 했습니다. <br /> <br />[박선호 / 국토교통부 1차관 : 12·16 대책에서 도입한 '공공참여 가로주택정비사업'에 대한 지원을 더 확대하겠습니다. 분양가 상한제 제외 대상을 공공이 참여하고 공공임대를 10% 이상 공급하는 모든 사업으로 확대하고, 저리 융자를 지원하겠습니다.] <br /> <br />이미 확보한 수도권 공공택지에서 공급 예정인 아파트 77만 채 가운데 절반 이상에 대해서는 오는 2023년까지 입주자 모집에 착수합니다. <br /> <br />특히 수도권 30만 채 공급에 속도를 내기 위해 사업속도가 빠르고 입지가 우수한 곳은 내년 말부터 입주자 모집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br /> <br />YTN 김현우[hmwy12@ytn.co.kr]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005061844037046<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