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관련국 반응 살펴보겠습니다. <br /> <br />먼저 워싱턴을 연결해서 미국의 반응 알아보겠습니다. 강태욱 특파원! <br /> <br />미국 시각이 지금은 일상이 시작되기 전의 아침 시간인데요. 미국 정부의 공식 반응 나왔습니까? <br /> <br />[기자] <br />네, 지금 이곳 시각이 아침 9시를 넘어서고 있는데요. <br /> <br />아직 공식 반응은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br /> <br />미국 국무부와 백악관 등에 연락을 취하고 있지만 답변이 오고 있지는 않은 상황입니다. <br /> <br />아무래도 신중하게 공식 반응을 정리하는 듯싶습니다. <br /> <br />미국은 그동안 북한의 도발 가능성에 대해 한반도 긴장을 높이지 말고 협상 테이블로 돌아오라는 입장이었습니다. <br /> <br />미국 국무부는 지난 13일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 담화와 권정근 외무성 미국담당 국장 담화 내용에 대해 대변인 이름으로 반응을 내놨는데요. <br /> <br />미국은 언제나 남북 관계 진전을 지지해왔다"며 "북한의 최근 행보와 성명들에 실망했다"고 밝혔습니다. <br /> <br />그러면서 "북한이 도발을 피하고 외교와 협력으로 돌아올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습니다. <br /> <br />미국 국방부도 다음 날 반응을 내놨는데요. <br /> <br />북한이 대남 군사 행동을 위협한 것에 대해 굳건한 연합방위 태세 유지에 계속 전념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br /> <br />이 같은 입장은 북한에 군사적 행동에 나서지 말 것을 에둘러 경고한 것으로 해석됐습니다. <br /> <br /> <br />미국에서는 북한의 도발 경고와 남북 연락사무소 폭파 도발에 대해 어떤 시각이 나오고 있습니까? <br /> <br />[기자] <br />북한이 남북 통신선을 차단했을 때부터 미국은 도발과 같은 추가적인 상황 악화를 경고해 왔습니다. <br /> <br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과 관련해 그동안 핵실험이나 미국 본토까지 공격이 가능한 대륙간탄도미사일, ICBM 시험발사를 이른바 레드라인으로 보고 대응을 해왔습니다. <br /> <br />이번 도발도 북한이 미국을 직접 겨냥한 수준은 아닙니다만, 트럼프 대통령 입장에서는 코로나19 대응과 흑인 사망 시위 등으로 재선 가도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인 만큼 또 다른 악재로 작용할 수밖에 없습니다. <br /> <br />이 때문에 추가 도발을 막기 위해서라도 강도 높은 반응이 나올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br /> <br />이와 관련해 CNN방송과 AP통신 등 미국 언론들은 북한의 연락사무소 폭파를 긴급 뉴스로 전하고 있습니다. <br /> <br />CNN은 북한이 그동안 위협을 행동으로 옮겼다며 탈북자의 전단지 살포로 남북한 갈등이 높아지는 가운데 도발이 ... (중략)<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006162300368876<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