폼페이오 "북한과 대화 계속할 수 있기를 희망" <br />"美, 북미 간 대화 여전히 추진하겠다는 의지" <br />트럼프 "北도 美도 만나고 싶어하는 것으로 이해"<br /><br /> <br />평양시 원로리 일대를 촬영한 위성 사진입니다. <br /> <br />미국 CNN 방송이 지하 핵탄두 제작 시설이 숨겨져 있다고 보도한 곳입니다. <br /> <br />웹 기반 3D 그래픽 제작 기술로 평면 지도를 입체화 해봤더니, 여러 건물과 기념물이 조성돼 있고, 외곽은 높은 담으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br /> <br />이곳이 진짜 핵무기 제조 시설인지 한미 정보 당국의 공식 확인은 없었습니다. <br /> <br />다만, 마크 에스퍼 미 국방 장관이 북한을 다시 '불량국가'로 부르고, 공식 문건에 북한이 질색하는 비핵화 용어 'CVID'를 명시한 시점과 맞물려 관심을 끌었죠. <br /> <br />반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잇따라 3차 북미 정상회담의 군불을 떼는 엇갈린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유는 뭘까요? <br /> <br />강태욱 워싱턴 기자가 보도합니다. <br /> <br />[기자] <br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북한과 대화를 계속할 수 있기를 매우 희망한다고 강조했습니다. <br /> <br />그러면서 대화가 정상회담보다 낮은 수준이거나 또는 고위 지도자들 수준일 수도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br /> <br />[마이크 폼페이오 / 미국 국무장관 : 우리는 이 대화를 계속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정상회담 바로 아래 수준이거나 적절하고 유용한 활동이 있다면 고위 지도자들이 다시 모일 수도 있을 것입니다.] <br /> <br />다만 한쪽 당사자와 하는, 진행 중인 대화에 관해 말하고 싶지 않다며 구체적인 언급은 피했습니다. <br /> <br />또 누가 할지, 어떻게 할지, 시기에 관해선 당장은 말하고 싶지 않다고 말을 아꼈습니다. <br /> <br />방한을 마친 스티븐 비건 대북특별대표가 북한과의 대화 물꼬를 트지는 못했지만 여전히 열려 있다는 의지를 내비친 것으로 보입니다. <br /> <br />[스티븐 비건 / 미 국무부 부장관 겸 대북정책 특별대표 : 우리는 한반도의 평화로운 결과를 위한 우리의 일이 지속되길 기대하고 있습니다. 매우 가능하다고 믿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러한 노력의 지속을 전적으로 지지하고 있습니다.] <br /> <br />또 대화 주체도 실무협상을 넘어선 북미 정상 간 가능성도 열어둔 셈입니다. <br /> <br />앞서 지난 7일 트럼프 대통령도 3차 정상회담에 대해 북한이 만나고 싶어 하고 우리도 분명 그러는 것으로 이해한다고 말했습니다. <br /> <br />특히 재선이 불리해진 트럼프 대통령과 행정부로서는 반전의 기회... (중략)<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007101520253172<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