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강제징용 日기업 한국내 자산압류 대비 "보복조치 검토"<br /><br />[앵커]<br /><br />강제징용 일본 기업에 대한 압류명령의 공시송달 시한 만료가 다가오면서 강경 대응을 공언해온 일본의 움직임도 바빠지고 있습니다.<br /><br />일본은 특히 압류된 자국 기업 자산이 현금화되는 상황을 대비해 각종 보복 조치를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집니다.<br /><br />한일관계가 강제징용 문제로 다시 출렁이고 있습니다.<br /><br />이상현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일제시대 강제징용 가해자인 일본 기업의 한국내 자산을 압류하기 위한 우리 법원의 공시송달 발효 및 자산압류 확정을 앞두고 일본의 대응이 바빠지고 있습니다.<br /><br />자산압류가 확정되더라도 한국 측이 이를 매각해 현금화하는 절차가 곧바로 이뤄지는 것은 아닙니다.<br /><br />하지만 일본기업 자산의 강제 매각에 한 걸음 더 근접하는 조치라는 점에서 일본 정부는 한국내 움직임을 예민하게 주시하며 대응책을 검토하고 있습니다.<br /><br />일본 현지 매체 보도에 따르면 일본 당국은 징용 기업의 자산 매각에 대비해 관세 인상, 송금 중단, 비자발급 엄격화, 금융제재 등의 대응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집니다.<br /><br />한국산 제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거나 한국으로의 송금을 제한해 기업 활동에 타격을 주거나, 비자 발급을 엄격화해 한국인의 대일 교류를 규제하겠다는 겁니다.<br /><br />일본 일각에서는 일본 은행이 한국 기업에 자금을 빌려주거나 자금 조달 시 보증을 서줬던 경우가 있다며 이를 회수해 타격을 주는 금융 제재 방안도 흘러나오고 있습니다.<br /><br />본격적 대응에 앞서 주일 한국대사 초치나 주한 일본대사의 일시 귀국과 같은 상징적 조치로 압박을 가할 가능성도 점쳐집니다.<br /><br />스가 요시히데 일본 관방장관은 최근 한 TV 프로그램에 출연해 "정부는 모든 대응책을 검토하고 있다"면서 "방향성은 확실히 나와 있다"고 말했습니다.<br /><br />하지만 거론되는 대책 대부분이 일본 경제에도 악영향을 주는 방안이어서 일본도 감정적으로 대응하기보다는 신중하게 접근할 것으로 예상됩니다.<br /><br />여기에 비자 발급 엄격화 등은 이미 코로나19 사태로 양국 교류가 축소돼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점도 일본의 대응을 고민하게 하는 측면이라는 분석입니다.<br /><br />연합뉴스 이상현입니다. (hapyry@yna.co.kr)<br /><b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br /><br />(끝)<br /><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