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가 '아베계승' 기조…한일관계 개선기회 제한적일듯<br /><br />[앵커]<br /><br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이 아베 신조 총리의 자리를 이어받게 되면서, 한일관계 향배에도 관심이 쏠립니다.<br /><br />정부는 일본의 정책기조에 큰 변화는 없을 것이라는 판단하에 차분히 대응하겠다는 입장입니다.<br /><br />서혜림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스가 자민당 신임 총재는 선거 기간 내내 아베 정권의 계승을 강조했습니다.<br /><br />특히 외교정책을 놓고는 아베 총리와 상담하겠다고 했습니다.<br /><br /> "아베 총리의 정상 외교는 정말로 훌륭하다고 생각합니다."<br /><br />아베 총리 재임 기간 내내 먹구름이 걷히지 않던 한일관계에 돌파구를 찾기 어려울 거란 전망이 나오는 이유입니다.<br /><br />실제 스가 총재의 인식은 아베 총리와 비슷합니다.<br /><br />특히 한국 대법원의 일제 강제징용 피해배상 판결에 대해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에 어긋나는 것이어서 국제법 위반이라는 주장을 되풀이했습니다.<br /><br />그렇다면, 정말 갈등을 풀 기회는 없는 것일까.<br /><br />일단, 외교가에서는 스가 총재의 완고한 역사 수정주의적 인식을 뚫기는 쉽지 않을 거란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그의 실용적 면모에 일부 기대를 걸고 있습니다.<br /><br />또, 한중일 정상회의가 계기가 될지도 주목됩니다.<br /><br />올해 우리나라가 의장국인데, 정부는 여건이 허락하는 한 대면으로 회의를 개최하려고 합니다.<br /><br />정상회의가 열리면 이를 기회로 한일 정상회담을 시도할 수도 있습니다.<br /><br />문재인 대통령과 신임 총리가 된 스가 총재가 만나 터놓고 이야기해볼 수도 있다는 겁니다.<br /><br />다만, 코로나19 사태가 수그러들지 않을 경우 당장 양국의 대화가 탄력을 받기 어려울 수도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br /><br />연합뉴스TV 서혜림입니다. (hrseo@yna.co.kr)<br /><b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br /><br />(끝)<br /><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