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올림픽 개막식 때 사이버 공격…접속 장애 <br />당시 美 정보기관 "러시아 해커 소행으로 판단" <br />러시아 정보기관 GRU(정찰총국) 요원 6명 기소<br /><br /> <br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개막 당시 해킹 사태를 일으킨 주범은 역시 러시아군 정보기관이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br /> <br />미국 법무부는 사이버 공격 혐의로 6명의 러시아 요원들을 기소했습니다. <br /> <br />김태현 기자의 보도입니다. <br /> <br />[기자] <br />평창올림픽 개막식 때 조직위원회와 파트너사들의 컴퓨터 수백 대가 사이버 공격을 받고 조직위 홈페이지에 접속 장애가 발생했습니다. <br /> <br />혼란을 겪고 12시간 만에 정상화됐던 해킹 사태는 당시 미국 정보기관의 예상대로 러시아의 소행이었습니다. <br /> <br />미국 법무부는 평창올림픽에 대한 사이버 공격 혐의로 러시아군 정보기관인 정찰총국, GRU 요원 6명을 기소했습니다. <br /> <br />공격 주체는 KGB와 함께 러시아의 대표적인 정보기관인 GRU 산하의 '74455 조직'이었습니다. <br /> <br />[스콧 브래디 / 미국 검사 : 피고들은 모두 GRU로 알려진 러시아 주요 정보기관 산하 74455 군사조직의 요원이었습니다.] <br /> <br />미국 당국은 평창올림픽 당시 도핑 시도가 발각돼 러시아 선수단이 국기를 달고 참가할 수 없게 되자 보복 차원에서 해킹이 벌어졌다고 설명했습니다. <br /> <br />이들은 2017년 프랑스 선거 때도 해킹을 하고 2016년 우크라이나 전력망에 악성코드 공격을 가했습니다. <br /> <br />도미닉 라브 영국 외무장관도 러시아가 평창올림픽 때 사이버 공격을 했으며, 당시 중국이나 북한의 소행인 것처럼 꾸몄다고 밝혔습니다. <br /> <br />이 조직이 최근엔 도쿄올림픽 조직위원회에 대한 공격도 시도했다고 설명했습니다. <br /> <br />[데이비드 보우디치 / FBI 부국장 : 이런 행위는 전통적인 정보 수집을 넘어선 것입니다. GRU는 글로벌 에너지 부문과 국제 정치 집단, 병원들과 심지어 올림픽까지 표적으로 삼았습니다.] <br /> <br />러시아 해커들은 3년 전 '낫페티야'(NotPetya)로 불리는 악성코드 공격으로 미국 기업 3곳에 1조 원이 넘는 손실도 입혔습니다. <br /> <br />YTN 김태현[kimth@ytn.co.kr]입니다.<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010201828572653<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