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전세 피해 외곽으로…집값 흔드는 전세난<br /><br />[앵커]<br /><br />최근 수도권과 대도시를 중심으로 집값이 다시 들썩이고 있습니다.<br /><br />서울의 전세난에 지친 세입자들이 수도권 중저가 아파트 매수에 적극 나서고 있고, 부산 등 지방 비규제지역에는 투자수요가 몰리고 있기 때문인데요.<br /><br />정부는 규제지역 추가 지정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br /><br />이재동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서울을 오가기 쉬운 지하철 김포골드선 주변의 한 아파트입니다.<br /><br />두 달 전 전용면적 84㎡가 5억9천만 원에 거래됐는데, 지금은 호가가 7억 원에 달합니다.<br /><br /> "다 서울에서 와요. 밀려오는 것 같아요. 전세 자체가 없으니까 그 돈으로 대출이 여기는 70%까지 되잖아요. 그러면 대출받아서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집을 살 수 있게 되는 거죠."<br /><br />서울과 맞닿은 유일한 비규제지역인 김포시의 아파트값은 통계상으로도 2주 만에 4% 가깝게 폭등했습니다.<br /><br />이처럼 실수요자가 서울 외곽으로 몰리며 올해 서울 사람이 사들인 경기도 아파트는 15년 만에 가장 많은 3만3,000가구.<br /><br />자연스레 집값 상승으로 이어졌는데 비슷한 현상은 지방에서도, 특히 비규제지역을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br /><br />이중 최근 갭투자자까지 늘어난 부산은 이번주 아파트값이 0.56% 올라 한국감정원 통계 작성 이후 최고 상승을 기록할 정도입니다.<br /><br />상황이 이렇자 정부도 규제지역 추가 지정을 검토 중입니다.<br /><br /> "규제지역을 피해서 규제가 없는 지역으로 투기를 하는 다주택 매집하는 분들이 최근에 쏠림 현상이 나타나서, 지방에서 과도한 집값 상승이 일어나는 지역이 있어서 저희가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br /><br />정부가 대책 마련을 골몰하는 사이, 이번주에도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오름폭을 더 키우며 61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br /><br />연합뉴스TV 이재동입니다.<br /><b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br /><br />(끝)<br /><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