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비핵화와 실용적 외교에 초점을 맞춘 대북 정책 방향을 내놓으면서 중국의 역할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br /> <br />중국도 대화를 지지한다는 입장인데, 대북 제재 완화를 동시에 촉구하고 있어 온도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br /> <br />베이징 특파원 연결해 이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강성웅 특파원! <br /> <br />바이든 행정부가 제시한 대북 정책 방향에 대해 중국은 어떤 입장입니까? <br /> <br />[기자] <br />중국은 오늘까지 닷새 동안 노동절 연휴여서, 외교부의 공식 입장은 아직 나오지 않았습니다. <br /> <br />다만 장쥔 UN 주재 중국 대사가 지난 토요일 이와 관련해 언급을 했습니다. <br /> <br />장쥔 대사의 입장은, 미국은 북한에 대해 제재를 완화하고 대화에 나서라는 것입니다. <br /> <br />블룸버그 통신은 장쥔 대사가 미국은 북한에 대해 극단적인 압박을 하지 말고, 대화에 더 중요성을 두기 바란다고 말했다고 보도했습니다. <br /> <br />이것은 북한 문제에 대한 중국 정부의 기존 입장 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br /> <br />다만 최근 미국과의 대립이 심해지면서, 중국은 북한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추세이고, 이런 맥락에서 제재 완화를 반복적으로 촉구하고 있습니다. <br /> <br />하지만 미국은 북한에 대한 제재를 풀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어, 중국과는 다른 입장입니다. <br /> <br /> <br />그렇지만 미국도 북한 문제에 대해서는 중국과 협력을 할 수 있다는 입장 아닙니까? <br /> <br />[기자] <br />그렇습니다. <br /> <br />런던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 외교.개발장관 회의 에 참석 중인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이 북한 문제에 대해 중국과 논의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br /> <br />블링컨 장관은 영국 파이낸셜타임스 신문과 가진 인터뷰에서, 미중 갈등 속에서도 이란 핵 문제에 대해 중국과 노력하고 있다면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br /> <br />블링컨 장관은 특히 북한 그리고 북한 핵 문제에 대해서도 의심할 여지 없이 앞으로 중국과 논의를 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br /> <br />하지만 정작 북한은, 미국의 대북 정책에 대한 검토 완료 이후에도 미국에 대한 비난을 이어가면서 도발 위협까지 하고 있습니다. <br /> <br />북한은 지난 일요일 외무성 대변인과 미국 담당 국장의 성명 등을 통해, 바이든 정부의 대북 정책이 냉전 시대에 머물러있다면서 이렇게 가면 미국은 심각한 위협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br /> <br />로이터 통신은 그러나 북한이 바이든 행정부와 완전히 대화의 문을 닫지 않은 것 같다고 평가 했습니... (중략)<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105051410109792<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