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쿼드 문 열려있어"…대중 견제전선에 한국도 언급<br /><br />[앵커]<br /><br />미국이 '쿼드'를 중심으로 대중국 견제전선을 확대해나갈 뜻을 거듭 확인했습니다.<br /><br />중국은 단순히 관여가 아닌 경쟁 대상이 됐다고 평가했는데요.<br /><br />이와 관련한 협력 국가로 한국을 직접 언급해 눈길을 끌었습니다.<br /><br />워싱턴 이경희 특파원 입니다.<br /><br />[기자]<br /><br />미국 행정부 내 '아시아 차르'로 불리는 커트 캠벨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인도태평양조정관은 대중관계가 "단순히 관여로 묘사되는 시대는 끝났다"면서 "지배적인 패러다임은 중국과의 경쟁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br /><br />그러면서 "미국은 쿼드와 관련해 야심이 있다"고 말해 쿼드를 핵심적 대중 견제 수단으로 키워갈 의지를 분명히 했습니다.<br /><br />바이든 정부 취임 직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도 비슷한 인식을 내비친 바 있습니다.<br /><br /> "우리는 정말로 그 형식과 메커니즘을 넘겨받아 더 발전시키고 싶습니다. (쿼드는)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실질적 미국 정책을 발전시킬 근본적인 토대로 보고 있습니다."<br /><br />캠벨 조정관은 올 가을 쿼드 회원국 미국, 일본, 인도, 호주 정상 간 대면회담도 추진하고 있다면서 지난 3월 화상으로 열린 1차 회담이 코로나19 공동대응에 초점을 맞췄다면, 2차 회의는 인프라에 비중을 두겠다고 밝혔습니다.<br /><br />이는 중국이 자국 경제영토 확장을 위해 추진하는 '일대일로' 구상에 맞서, 쿼드 참여국을 중심으로 한 인프라 건설 전략으로 맞불을 놓겠다는 것이란 해석을 낳습니다.<br /><br />특히 캠벨 조정관은 향후 협력 대상으로 한국을 직접 거론했습니다.<br /><br />중국의 권위주의에 대항한 미국식 민주주의 운영시스템의 전 세계 확산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쿼드 회원국은 물론 비회원국인 한국과 유럽 국가까지 언급한 것입니다.<br /><br />백신 생산 협력과 대북 공조를 확인한 한미정상회담 이후 동참 압박이 커질 것이란 관측과 맞물려 주목되는 발언입니다.<br /><br />쿼드 확대 계획에 대해서도 쿼드는 가입이 제한되는 소수만의 단체가 아니라면서 "공조하고 싶은 국가들이 있다면 문은 열려있다"고 말했습니다.<br /><br />한미정상회담을 앞두고 캠벨 조정관이 당장에 확대 계획은 없다고 밝혔던 것과는 다소 온도차가 있습니다.<br /><br />지금 당장은 아니라도 장기적으로는 미국이 한국의 역할을 주문하는 목소리를 점점 키울 수 있음을 시사한 대목으로 여겨집니다.<br /><br />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이경희입니다.<br /><b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br /><br />(끝)<br /><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