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폐업했는데…'통신 위약금'에 두번 우는 자영업자<br /><br />[앵커]<br /><br />코로나19 영향으로 국내 취업자 중 자영업자 비중이 사상 처음으로 10%대로 내려앉았다는 소식 전해 드렸는데요.<br /><br />벼랑 끝에 몰려 폐업을 한 이후에도 '위약금' 부담에 또다시 눈물짓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br /><br />박현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br /><br />[기자]<br /><br />경기도 수원에서 2004년 목욕탕을 개업해 올해까지 18년째 운영해 온 김모씨.<br /><br /> "목욕 사업이라는 게 지역 주민이랑 유대를 해야되는 업종이거든요… 코로나라는 저기 때문에 힘들게 되다 보니까…"<br /><br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적자에 올해 4월, 폐업을 했는데 뜻밖의 '위약금' 통보에 두 번 울어야 했습니다.<br /><br /> "KT에서 3년 단위로 재계약이 이뤄지니까…(위약금이) 한 40만~50만 원 정도 됐던 것 같아요. 큰돈이지…영업이 잘되거나 그랬으면 괜찮은데 어렵고 그러니까 나중에 힘들더라고요…"<br /><br />코로나19 영향으로 단기간 내에 폐업하는 자영업자들이 급증하는 가운데, 통상 3년 단위로 이뤄지는 인터넷 약정 등 특성상 김씨처럼 폐업 뒤 위약금을 물게 되는 사례도 늘어나는 추세.<br /><br />코로나 전후 위약금 통계 자료를 제공해 달라는 취재진 요청에 통신 3사는 '영업 비밀'을 이유로 응하지 않았는데, 폐업 등 사례가 반영됐을 것으로 추정되는 통신 3사의 '인터넷 해지' 건수를 코로나 전후로 비교해 보니, 9% 정도 증가했고, 18% 늘어난 곳도 있었습니다.<br /><br />통신 3사는 현재로선 코로나로 인한 폐업 등을 고려하지 않고, 약정 기간 내 해지에 대해선 '원칙대로' 적용해 나가고 있다는 입장.<br /><br /> "위약금 청구까지 됐을 때 더 그 고통이 가중되기 때문에 통신사, 대기업에서 상생 차원에서 그분들의 위약금을 유예하거나 면제하는 정책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br /><br />통신 3사는 취재가 시작된 이후 '코로나 폐업 자영업자'들에 대한 위약금 정책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br /><br />연합뉴스TV 박현우입니다. (hwp@yna.co.kr)<br /><b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br /><br />(끝)<br /><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