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권 초·중생 유입 급증…'자사고 폐지' 풍선효과?<br />[뉴스리뷰]<br /><br />[앵커]<br /><br />올해 서울 강남, 서초구 같은 이른바 명문 학군으로 초등생과 중학생 순유입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br /><br />전문가들은 정부가 2025년까지 자율형사립고를 폐지하기로 한 결정에 따른 풍선효과일 가능성을 거론하고 있습니다.<br /><br />이동훈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올해 서울 강남·서초구에 전입에서 전출을 뺀 '순유입' 초등학생 수는 1,800여 명입니다.<br /><br />2019년의 1천여 명에 비해 70% 넘게 급증한 것으로, 서울 전체에서 초등학생이 2,300명 가까이 줄어든 것과도 다른 모습입니다.<br /><br />목동이 포함된 양천구는 2019년 498명에서 올해 917명으로 같은 기간 2배 가까이 늘었습니다.<br /><br />이런 현상은 중학생에서도 나타납니다.<br /><br />같은 지역의 중학생 순유입 수 역시 재작년 182명의 2배에 달하는 361명으로 늘었습니다.<br /><br />올해 서울대 합격자 513 여명 가운데 강남, 서초, 양천구가 222명인 점을 감안하면 소위 진학 명문으로 불리는 지역으로 초등·중학생들의 쏠림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입니다.<br /><br />전문가들은 정부가 2025년까지 자사고를 일괄 폐지하기로 한 정책의 영향이 크다고 분석합니다.<br /><br /> "자사고가 없어진다고 가정하면 결국은 좋은 학교라고 하는 개념은 강남 8학군밖에 안 남잖아요. 강남으로 갈 개연성이 충분히 있다…"<br /><br />이런 인식은 학부모들 사이에서도 나타납니다.<br /><br />한 대학교 연구팀이 서울 지역 학부모 1,00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자사고 폐지 이후 강남과 다른 지역의 교육 격차가 커진다고 답한 학부모는 전체의 70%에 달했습니다.<br /><br />자사고 폐지는 공교육 정상화와 사교육 경감 등을 위해 도입됐지만, 교육의 다양성을 해치고 자칫 지역 간 교육 격차만 키우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br /><br />연합뉴스TV 이동훈입니다. (yigiza@yna.co.kr)<br /><b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br /><br />(끝)<br /><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