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제·국산백신 등판…"일상-피해 최소화 접점 찾아야"<br /><br />[앵커]<br /><br />델타에 이어 오미크론까지 새 코로나 변이의 잇따른 등장에 일상회복에 제동이 걸렸죠.<br /><br />하지만 먹는 치료제와 국산 백신 도입 계획이 희망의 불씨를 지피고 있는데요.<br /><br />올해는 과연 코로나와 일상의 공존이 가능할지 판가름 짓는 분수령이 될 전망입니다.<br /><br />김장현 기자입니다.<br /><br />[기자]<br /><br />영국과 미국의 확진자 수 그래프입니다.<br /><br />접종 완료자가 늘며 한풀 꺾였던 곡선이 오미크론 변이 등장 뒤 가파르게 치솟습니다.<br /><br />그런데 오미크론의 급속한 확산에도 중환자, 사망자 곡선은 그만큼 급격하게 오르지 않고 있습니다.<br /><br />다수 인구가 코로나에 감염돼 자연면역이 생긴데다, 백신 접종이 더해져 중증화율이 낮아진 겁니다.<br /><br />오미크론이 코로나 토착화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오는 이유입니다.<br /><br />그런데 국내 사정은 좀 다릅니다.<br /><br />코로나에 감염됐던 사람이 적어 백신 접종이 더해져도 집단면역에 충분치 않은 것입니다.<br /><br /> "우리나라에선 재감염자 수가 적기 때문에 어느정도 중증화율이 감소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큰 폭으로 감소한다고 기대할 정도는 아니라고 봅니다."<br /><br />하지만 이달 중순부터 재택치료와 생활치료센터에 쓰일 먹는 치료제가 상황을 바꿔놓을 수 있습니다.<br /><br /> "백신으로 충분히 무장을 하고 경구용 치료제와 외래에서 치료가 활성화되면 중증 환자는 많이 줄 것이고 겨울에 발생할 대유행만 철저히 대비하면 될 것 같습니다."<br /><br />백신도 올해는 한층 안정적 공급이 이뤄집니다.<br /><br />모더나 백신이 삼성바이오로직스에서 생산되고, SK바이오사이언스의 국산 백신도 상반기 상용화가 예상되기 때문입니다.<br /><br /> "8개사에서 국산 백신 개발을 위한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가장 빠른 기업 같은 경우 3상을 진행하고 있고요. 내년도에 5,457억원 정도 국산 치료제·백신 개발을 위해 지원할 계획입니다."<br /><br />잇따른 변이 출현으로 코로나 종식은 쉽지 않게 됐습니다.<br /><br />일상생활 복귀와 피해 최소화간 최적 접점을 찾는 일이 올해 우리 앞에 놓여진 과제입니다.<br /><br />연합뉴스TV 김장현입니다.<br /><b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br /><br />(끝)<br /><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