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prise Me!

강제노역 보존 세계문화유산된 람멜스베르크 광산을 가다

2022-02-12 1 Dailymotion

강제노역 보존 세계문화유산된 람멜스베르크 광산을 가다<br /><br />[앵커]<br /><br />일본이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징용 현장인 사도광산에 대해 세계문화유산 등록을 추진해 한중러 3국의 반발을 사고 있는데요.<br /><br />독일에는 나치 정권 당시 강제노역의 역사를 간직한, 전세계에서 채굴 역사가 가장 긴 광산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돼 보존되고 있다고 합니다.<br /><br />베를린 이율 특파원이 그곳을 다녀왔습니다.<br /><br />[기자]<br /><br />독일 중북부 고슬라의 람멜스베르크 광산.<br /><br />베를린에서 열차로 3시간가량 떨어진 해발 635미터에 자리하고 있는 이곳은 세계 최장인 1천년 채굴의 역사의 가치가 인정돼 1992년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됐습니다.<br /><br />현재 박물관 형태로 조성된 이곳에서 가장 집중하는 장면은 2차 세계대전 중 벌어진 나치 정권에 의한 강제노역입니다.<br /><br />30년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독일 람멜스베르크 광산은 1천 역사 중 12년에 불과한 제2차 세계대전 당시 강제노역 현황에 대해 자세히 전시하고 있습니다.<br /><br />이 광산은 대공황으로 큰 타격을 받아 문을 닫을 뻔했다가 나치가 집권한뒤 무기 생산 원료 기지로 만들기 위해 대대적으로 투자하면서 되살아났습니다.<br /><br />무기 제조용 아연, 납, 구리가 필요했던 나치는 구소련과 폴란드, 이탈리아, 프랑스, 네덜란드 등 16개국에서 강제로 인력을 동원했습니다.<br /><br />파악된 강제노역 피해자 320여명 중 70명은 17∼25세에 불과했고 20여명은 여성이었습니다.<br /><br />특히 람벨스베르크 광산은 노역 현장과 사료를 그대로 보존해 역사적 가치의 '완결성'과 '온전성'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br /><br />일본 정부가 조선인 강제징용 현장인 사도광산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추진하면서 보인 입장과는 사뭇 대조적입니다.<br /><br />일본 정부는 사도광산의 역사 중 일제강점기의 조선인 강제노동 사실을 빼고 에도시대로 한정해 유네스코에 추천했습니다.<br /><br />역사적 현장을 관리하는 책임자는 강제노역을 외면해 버린 일본의 사도광산 추천을 강하게 비판했습니다.<br /><br />강제노역 증거를 부정하려는 일본정부의 람멜스베르그 광산은 좋은 본보기가 되고있습니다.<br /><br />람멜스베르그 광산에서는 지금도 나치 통치 기간 이뤄진 강제노역에 대한 정밀조사가 진행 중입니다.<br /><br /> "당시 서류에서 강제노동이 이뤄졌다는 사실의 원천을 찾을 것입니다. 연구를 하면서 역사를 학생들에게 전하는 겁니다."<br /><br />람멜스베르크 광산에서 연합뉴스 이율입니다.<br /><br />#람멜스베르크 #강제노역 #사도광산<br /><b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br /><br />(끝)<br /><br />

Buy Now on CodeCany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