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일 정상, 북 대응 협력·중 견제 합심…IPEF 출범<br /><br />[앵커]<br /><br />미일 정상이 오늘(23) 취임 후 대면 정상회담을 하고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한미일 3국이 긴밀하게 공조한다는 방침을 확인했습니다.<br /><br />또 바이든 대통령은 중국의 경제적 영향력 확대를 억제하기 위한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 IPEF의 출범도 알렸습니다.<br /><br />배삼진 기자의 보도입니다.<br /><br />[기자]<br /><br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취임 후 첫 대면 정상회담을 가졌습니다.<br /><br />양국 정상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한미일 3국이 긴밀하게 공조한다는 방침을 확인했습니다.<br /><br />기시다 총리는 이와 함께 동중국해와 남중국해에서 벌어지는 힘에 의한 현상 변경 시도나 인권 문제 등 중국과 관련한 문제에서도 미국과 일본이 긴밀하게 협력하기로 했다고 말했습니다.<br /><br />백악관 역시 두 정상이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이나 국제법을 거스르는 중국의 강압적인 행동 증가 등 안보상의 과제에 대응하기 위해 긴밀하게 협력하기로 약속했다고 전했습니다.<br /><br />특히 기시다 총리는 회담에서 이른바 '적 기지 공격 능력' 보유와 방위비 증액 등 일본 자체 방위력 강화를 위한 검토 상황을 바이든 대통령에게 설명했고 바이든 대통령은 이를 지지했습니다.<br /><br />바이든 대통령은 또 이날 회담에서 일본의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 진출에 지지 입장을 밝혔습니다.<br /><br /> "바이든 대통령은 안보리 개혁과 관련해 일본이 안보리 상임이사국이 되는 것을 지지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br /><br />상임이사국 확대는 유엔 헌장 개정이 필요한데, 현재 5개 상임이사국을 포함해 전체 회원국 3분의 2가 비준해야 가능합니다.<br /><br />하지만 중국과 러시아의 반대 가능성 때문에 일본 진출 여부는 불투명하다는 분석입니다.<br /><br />정상회담 이후 바이든 대통령은 중국의 경제적 영향력 확대를 억제하기 위한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 IPEF 고위급 화상회의를 열고 IPEF 출범을 공식화했습니다.<br /><br />한국을 비롯해 미국, 일본, 호주, 인도 등 13개국이 창립 멤버로 참여했습니다. 중국과 지정학적, 경제적으로 얽힌 인도가 동참하고, 가입의사를 표명한 대만이 제외된 게 눈에 띕니다<br /><br /> "이 틀은 21세기 경제 경쟁력 확보에 가장 중요한 도전들에 대해 동맹 및 역내 파트너들과 협력하기 위한 약속입니다."<br /><br />바이든 대통령은 24일 미국, 일본, 호주, 인도의 대중국 견제 협의체인 쿼드 정상회의에 참석한 뒤 귀국할 예정입니다.<br /><br />연합뉴스TV 배삼진입니다.<br /><br />#바이든_기시다 #중국_견제_억지력 #IPEF_쿼드<br /><b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br /><br />(끝)<br /><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