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장 높아진 자포리자 원전…내달 IAEA 시찰 이뤄질까<br /><br />[앵커]<br /><br />러시아군이 점령 중인 자포리자 원전이 전장의 한복판에 놓이면서 이 일대 긴장이 연일 고조되고 있는데요.<br /><br />'제2의 체르노빌 사태'를 막자는 취지에는 당사자 모두 공감하고 있지만 국제원자력기구의 시찰이 실제 이뤄질지는 여전히 미지수입니다.<br /><br />김지선 기자가 보도합니다.<br /><br />[기자]<br /><br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이달 들어 자포리자 원전 주변에서 이어진 크고 작은 폭격을 두고 '네탓' 공방을 벌였습니다.<br /><br />급기야 상대방이 원전에서 도발을 준비하고 있다며 구체적인 날짜까지 지목하고, 소셜미디어에는 원전 내 러시아 군용차량으로 보이는 영상이 확산하며 긴장을 한껏 끌어올렸습니다.<br /><br />군사 충돌 과정에서 시설이 파괴된다면 체르노빌 사태와 같은 대재앙이 벌어질 수도 있는 상황.<br /><br />국제사회의 움직임도 긴박해졌습니다.<br /><br />IAEA 시찰단 파견에 동의한 우크라이나에 이어 러시아를 설득하려는 튀르키예와 프랑스의 중재 시도가 이어졌습니다.<br /><br />러시아도 시찰 필요성에 공감하며 내달 초 시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지만, 공격책임과 비무장화, 반환 문제 등을 두고 양국의 입장차가 극명해 낙관하기엔 이르다는 지적도 나옵니다.<br /><br /> "러시아는 즉각 조건 없이 IAEA 대표단을 원전에 파견하는데 동의하고, 원전이 있는 지역에서 군대를 철수시켜야 합니다."<br /><br /> "(우크라이나가 보여준 통제 능력 부족은) 자포리자 원전 비무장화 제안을 수용할 수 없는 이유입니다."<br /><br />만약 그렇게 된다면 원전의 안전은 더욱 취약해질 것입니다.<br /><br />최근 논의가 결국 각국의 외교적 명분 쌓기와 주도권 확보를 위한 공허한 말 잔치가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옵니다.<br /><br />연합뉴스TV 김지선입니다.<br /><br />#자포리자_원전 #IAEA_시찰 #우크라이나<br /><b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br /><br />(끝)<br /><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