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발생한 이상 기후에 대한 정부 차원의 종합 보고서가 나왔습니다. <br /> <br />'중부 폭우, 남부 가뭄'이 대표적인 이상 기후로 꼽혔는데요, <br /> <br />상반된 기상이변의 동시 출현을 두고 기후 변화를 넘어 기후 위기 시대에 진입했다는 신호로 보는 시각이 많습니다. <br /> <br />기상·재난 전문기자와 함께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김민경 기자! <br /> <br />지난해 이상 기후를 대표하는 현상이 '중부 폭우'였군요? <br /> <br />[기자] <br />네 그렇습니다. <br /> <br />오늘 정부 차원의 이상 기후 보고서가 발표됐습니다. <br /> <br />지난해 발생한 기상 이변과 이로 인해서 발생한 사회· 경제적 피해를 분석한 뒤에 발표되는데요. <br /> <br />2022년에 가장 큰 피해를 준 건 중부지방 폭우였습니다. <br /> <br />장마부터 8월까지 북태평양 고기압이 일시적으로 확장하면서 정체전선이 주로 중부지방에 머물렀는데요. <br /> <br />이 때문에 중부지방에는 인천 옹진에 144mm, 서울 동작 141.5mm, 서울 강남에도 116mm가 내리면서 시간당 100mm가 넘는 강한 비를 뿌렸습니다. <br /> <br />이로 인해서 8월 한 달에만 중부지방에 총 19명의 인명피해와 3,154억 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습니다. <br /> <br /> <br />남부 지방 가뭄도 지난해를 대표하는 이상 기후현상이었죠? <br /> <br />[기자] <br />네, 그렇습니다. <br /> <br />남부지방에는 반대로 물이 부족해 가뭄이 극심해졌는데요, <br /> <br />6월부터 12월까지 기상 가뭄이 계속되면서 1974년 이후 가장 많은 227.3일의 가뭄 일수를 기록했습니다. <br /> <br />전남지역에는 1,442ha에 달하는 농작물 피해가 발생했고, 섬진강 권역 댐 저수율은 2022년 12월 기준 예년의 절반 정도로 '심각'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br /> <br /> <br />지난해 또 다른 이상 기후현상은 어떤 게 있었나요? <br /> <br />[기자] <br />지난해 6월 하순에 때 이른 열대야가 발생했습니다. <br /> <br />특히 서울과 수원, 춘천 등 14개 지점에서는 기상 관측 이래로 첫 6월 열대야가 나타나기도 했습니다. <br /> <br />뿐만 아니라 7월 상순에는 영남 내륙지역에 역시 때 이른 폭염이 나타났습니다. <br /> <br />이로 인해 온열 질환자는 사망자 9명을 포함해 총 1,564명으로 전년 대비 13.7% 증가했습니다. <br /> <br />또,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태풍은 5개로 평년보다 1.5개 정도 많았고, 7년 연속 9월 가을 태풍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br /> <br />특히, 제11호 태풍 '힌남노'가 거제로 상륙하면서 집중호우와 강풍으로 인명·재산피해가 잇따랐습니다. <br /> <br />지난해 폭우와 가뭄이라는 상반된 ... (중략)<br /><br />YTN 김민경 (kimmink@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8_202303301431361840<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