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prise Me!

韓美 "일방적 현상 변경 반대" 천명...中 반응은? / YTN

2023-04-27 1 Dailymotion

한미 정상은 그 어떤 일방적 현상 변경 시도도 강력히 반대한다고 천명했습니다. <br /> <br />다만, 타이완 해협을 명시한 게 아니라, 인도·태평양 지역으로 범위를 넓혔습니다. <br /> <br />중국 반응 짚어봅니다. 강정규 특파원! <br /> <br />[기자] <br />네, 베이징입니다. <br /> <br /> <br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 중국이 가장 촉각을 곤두세운 부분이 바로 타이완 관련 공동성명 수위였는데, 반응이 나온 게 있나요? <br /> <br />[기자] <br />중국이 가장 민감하게 받아들인 게 "현상 변경 반대"라는 말이죠. <br /> <br />한미정상의 공동성명에 이 표현이 나오긴 했는데, 타이완 해협을 콕 집어 말하진 않았습니다. <br /> <br />타이완 해협에 대해서는 "평화와 안정 유지의 중요성을 재확인했다"는 수준에 그쳤습니다. <br /> <br />중국의 반발을 의식해 나름 수위를 조절했다고 볼 수도 있는데요. <br /> <br />그러나 중국에 대한 압박 범위와 강도를 더 높였다고 읽히는 대목이 따라 붙었습니다. <br /> <br />"인도-태평양에서 그 어떤 일방적 현상 변경 시도에도 강력히 반대한다"고 천명한 겁니다. <br /> <br />불법적인 해상 영유권 주장, 매립지역의 군사화 등 중국을 겨냥한 사례도 적시했습니다. <br /> <br />아직 중국의 이렇다 할 반응은 나오지 않고 있는데, 한국시간으로 오후 4시, 중국 외교부 브리핑을 주목해 봐야 할 것 같습니다. <br /> <br /> <br />또 중국이 예민하게 반응하는 게 반도체 수출 통제인데, 어떤 반발이 예상될까요? <br /> <br />[기자] <br />이번 회담에 앞서 미국이 한국에 반도체 관련 압박을 넣을 거란 외신 기사가 나온 적 있었죠. <br /> <br />중국이 제재에 착수한 미국 업체 마이크론 대신 삼성이나 SK 같은 우리 기업이 중국에 반도체를 공급하지 않도록 손을 쓸 거란 내용인데요. <br /> <br />이에 대해 중국은 미국이 자국의 이익을 위해 동맹국까지 협박하고 있다고 비난했습니다. <br /> <br />이어, 반도체 수출 통제에 동참하면 한국 기업들이 타격을 입을 거라고도 지적했습니다. <br /> <br />메모리 반도체 분야는 삼성과 SK 하이닉스, 마이크론이 3강 경쟁을 벌이는 구도인데요. <br /> <br />바로 이점을 파고들어 한미 양국은 물론, 정부와 기업 사이를 '갈라치기'하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br /> <br />이점을 의식한 듯 한미 정상은 공동성명에 "한국 기업들의 우려를 완화하기 위해 양국이 기울여 온 최근의 노력을 평가했다"는 내용을 담았습니다. <br /> <br />하지만, 문구 자체가 모호하고, 구체적인 방법도 나오지 않아서 '립 서비스'에 그쳤다는 평가입니다. <br /> <br /> <br />우크... (중략)<br /><br />YTN 강정규 (live@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304271400297254<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Buy Now on CodeCanyon